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氣치유 및 온열요법이 SROM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Qi-therapy and Thermotherapy on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이석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102 patients with limed shoulder joint movement from the shoulder muscle pains, pre- and post-examination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SROM) among three groups which received thermal therapy, Qitherapy, and their combination each. Also, pre- and post-examination for the neck pain and disability scale (NPDS) was performed. In the changes of shoulder joint flexion angle of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pains, the average measurement after 5 times of treatment was increased to 151.39o by 10.3% in the group of thermotherapy, to 169o by 15.4% in the Qi - therapy group, and to 168.17o by 22.1%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ll with significance. In the sam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 effects between thermal therapy and Qi-therapy. The average therapeutic effects in the same group have been all increased with significance. In the changes of shoulder joint extension angle, the average measurement after the treatment was increased to 41.52o by 2.7% in the thermotherapy group, to 42.10o by 4.7% in the Qi-therapy group, and to 42.99o by 7.2%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l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oth among the group with different therapies and within the group with different therapies. In the changes of shoulder joint abduction angle, it was increased to 151.56o by 11.1% in the thermotherapy group, to 164.82o by 14.7% in the Qi-therapy group, and to 166.78o by 21.8%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ll with significance among different therap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different therapies within the same group. When analyzing the changes of external rotation angle of shoulder joint, the average measurement after the treatment was increased to 77.94o by 3.6% in the thermotherapy group, to 76.65o by 6.5% in the Qitherapy group, and to 76.16o by 6.7%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ll with significance among different therapies of three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erapeutic effects of Qi-therapy and combination therapy within the same group while thermotherap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ose two therapies. In the changes of internal rotation angle of shoulder joint, the average measurement after the treatment was increased to 81.14o by 1.7% in the thermotherapy group, to 76.65o by 6.5% in the Qi therapy group, and to 78.26o by 7.2%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ll with significance among different therapies of three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therapies within the same group. The average measurement after the treatment for the changes of neck pain and disability scale (NPDS) was decreased to 23.65 by 30.8% in the thermal therapy group, to 16.41 by 53.1% in the Qi-therapy group, and to 18.35 by 51.3%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eac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therapies in three groups as well as different therapies within the same group. In conclusion, the therapeutic effects in the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pains have been highest in the combination therapy followed by thermal therapy and Qi-therapy which had similar therapeutic effects each, al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e could understand that these three therapies are useful as natural therapies. We hope these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한국어

어깨근통증으로 근육의 견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있는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온열요법, 기치유요법 그리고 두 요법을 병행 적용하였을 때에 세 그룹 별 또는 그룹 간의 견관절 가동범위(SROM)에 대하여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 시하였고, 경부통증과 장애척도(NPDS)는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견관절 통증환자의 견관절 굴곡 각도의 변화 에서는 5회 치유 후의 평균 측정치는 온열요법은 151.39o로 10.3%, 기치유요법은 169o로 15.4%, 병행요법은 168.17로 22.1%가 각각 증가되었으며, 세 그룹 간의 치유방법에 따른 평균효과도 유의성이 있었다. 동일집단군 내에서 온열 요법과 기치유요법 사이의 치유 효과는 유의성이 없었다. 동일집단 내의 평균치유효과는 모두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 다. 견관절 신전 각도의 변화에서는 치유후의 평균치는 온열요법은 41.52o로 2.7%, 기치유요법은 42.10o로 4.7%, 병행 요법은 42.99o로 7.2%로 각각 증가되었으며, 세 그룹의 치유방법 간의 치유효과와 그룹 내의 치유방법 간 치유 효과도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견관절 외전각도의 변화에서는 치유후의 온열요법에서는 151.56o로 11.1%, 기치유요법에서는 164.82o로 14.7%, 병행요법은 166.78o로 21.8%가 각각 증가되었으며, 세 그룹의 치유 방법 간에 치유효과도 모두 유의 성이 있었다. 동일집단 내에서 세 가지 요법 간에는 치유효과가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 견관절 외회전 각도의 변화의 분석에서는 치유 후의 평균치는 온열요법에서는 77.94o로 3.6%, 기치유요법은 76.65o로 6.5%, 병행요법은 76.16o로 6.7%가 각각 증가되었으며, 세 그룹의 치유방법 간의 치유효과도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동일집단군 내에서 기치유요 법과 온열과 기치유 병행요법 사이에는 치유 효과의 평균에 유의성이 없었고, 온열치료는 기치유요법과 병행요법과는 모두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견관절 내회전 각도의 변화에서 치유 후의 평균치는 온열요법에서는 81.14o로 1.7%, 기치유요법은 76.65o로 6.5%, 병행요법은 78.26o로 7.2%가 각각 증가되었으며, 세 그룹의 치유 방법 간에 치유 효과도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동일집단군 내에서 세 가지 요법 간에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 6. 경부 통증과 장애 척도 (NPDS)의 변화를 분석한 치유후의 평균치는 온열요법에서는 23.65점으로 30.8%, 기치유요법은 16.41점으로 53.1%, 병행요법은 18.35점으로 51.3%가 각각 감소하였으며, 세 그룹의 치유방법 간의 치유효과도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동 일집단군 내에서 세 요법 간에는 치유 효과가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견관절 통증환자의 치유효과의 순서 는 병행요법이 치유효과가 제일 높았고, 온열요법 및 기치유요법은 유사하게 치유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 의성이 있게 모두 나타났다. 세 가지 요법이 자연치유요법으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이 세 가지 요법이 국민의 복지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초록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견관절 굴곡 각도에 미친 영향
  견관절 신전 각도의 치유전후 변화
  견관절 외전 각도의 치유전후 변화
  견관절 외회전 각도의 치유전후 변화
  견관절 내회전각도의 치유전후 변화
  경부통증과 장애척도(NPDS)의 치유 전후 변화
 고찰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석복 Lee Suk Bok. 한국생기도협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