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of Service Verification Methodology Based on Cloud Computing Interoperability
초록
영어
In every single field including cloud computing, to establish standards is a dramatic driver for using and spreading the subject efficiently. In this modern society where variety and mass customization are pursued,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emphasize interoperability by which various and different entities are connected seamlessly as a unified one than to make a single one through a simple standardiz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studied ideas and researches on interoperability under development and consideration in this context and suggested procedural and institution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service verification methodology based on cloud computing interoperability.
한국어
클라우드 컴퓨팅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표준의 확립은 해당 대상의 효율적 활용과 확산에 극적 인 기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 사회와 같이 다양성과 대량 고객화를 추구하는 현실에서는 대상 자체를 표준화하여 단일화 또는 획일화를 기하는 것보다 다양하게 존재하는 개체들을 필요할 때마다 연결하여 마치 하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상호 운용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더 높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호 운용성에 대한 생각과 연구들을 정리 하고, 상호 운용성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인증을 위한 절차적·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상호 운용성의 개념
3. 클라우드 상호 운용성의 특성
3.1 기대 효과
3.2 상호 운용성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평가 요소
4.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 제도
4.1 우리나라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 제도
4.2 미국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인증 제도(FedRAMP)
4.3 한국형 모바일OK 인증
4.4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 평가 시스템
5. 클라우드 상호 운용성 평가 및 인증제 운영을 위한 제언
5.1 현행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 제도의 문제점
5.2 클라우드 컴퓨팅 상호 운용성 평가ㆍ인증 체계 제안
5.3 향후 과제 및 논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