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인의 주체를 향한 사신(私信)으로서의 디지털 영상

원문정보

Digital Image as a Private Communication toward the Subject of Misconception

최원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kind has been attracted to image. Therefore, the history of image is also the history of realistic image reproduction. The objective of realistic reproduction has been achieved by the appearance of photograph and film; however, the appearance of digital changed the paradigm of reproduction. The big change is that it became possible to lively reproduce virtual image. This study will suggest a new topic on why we are attracted to digital image, which is more real than rea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ies of Louis Althusser and Jacques Lacan is that the subject of unconsciousness gets interpellation to digital image by accepting the image of fantasy as a private communication.

한국어

인류는 태초부터 이미지에 매혹되었다. 따라서 이미지의 역사는 사실적 이미지를 재현하기 위한 역사이기도 했다. 사진과 영화의 등장으로 사실적 재현의 목표가 실현되었지만, 디지털의 등장은 재현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무엇보다도 가상의 이미지에 대한 생생한 재현이 가능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재보다 더 실재 같이 다가오는 디지털 영상에 매료되는 원인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루이 알튀세르와 라캉의 이론을 토대로 무의식의 주체가 환상의 이미지를 사신(私信)으로 받아들임으로서 디지털 영상에 호명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결여의 주체와 이미지
 3. 오인의 주체와 디지털 영상
 4. 도착하는 편지와 받지 못하는 편지
 5. 사신(私信)으로서의 디지털 영상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원호 Choi, Won Ho.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