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화, 까치호랑이의 의미구조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Folk Painting, The Study for Meaning Creation of Magpies and a Tiger

조운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prior to a study regarding to general Korean ancestors’ folk painting, with exploratory purpose, is analyzed to see its meaning structure in deep, superficial and discourse level and its meaning-creation process through Greimas’ Structural Semiotics. As results of the study, is created to resolve anxiety that is contained in the public ’s lives toward the future, and to hope well in everyday life. The well and anxiety at the instinctive level are in conflict in the pursuit of them. The opposition between lucky and unlucky sign residing in the superficial structure is based on the opposition between well and anxiety in the deep structure. In discourse structure, pivoting around substances that defeat and is lost by ghost, opposition is generated between ‘ defeating and lost by ghost’, ‘humor and serious look”, and ‘new year and last year”. Actor Model), the most importantly, action subject is the public, that is a family, and the object that they pursue through the folk painting is well toward the future. The adjuvant that links the subject who is a family and the object which is the well is the folk painting, and the opponent is evil or misfortune. Additionally, the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e of defining need, role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wish of folk painting that is linked with the public’s life history, seasonal customs, household matters, understanding the concrete truth, and searching popular appeal, aesthetic sense, artistry and creativity of folk painting.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전통 민화 전반에 대한 연구에 앞서, 선행적, 탐색적 성격을 지니고, 까치호랑이 한 작품 을 그레마스의 구조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민화의 심층과 표층 그리고 담론 층위의 의미구조와 의미의 생 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까치호랑이 민화는 민중들의 삶속에 내포하고 있는 미래에 대한 불안 해소와 일상의 안녕을 위해 그려져 있으며, 그것의 추구과정에서 오는 인간 본능 차원의 안녕과 불안이 서로 대립되고 있다. 표층구조에 존재하는 ‘길상과 불길’의 대립은 이러한 심층구조에 존재하는 ‘안녕과 불안’의 대립을 바탕으로 생성된 것이 며, 담화구조에서는 ‘벽사물과 견탈물’을 중심으로 ‘벽사와 견탈, 해학과 정색, 새해와 지난해’의 대립을 형성 하고 있다. 행위소 모델 적용에서는 가장 중요한 행위주체는 민중, 즉 가족들이고 이들이 추구하는 객체, 즉 대상은 민화를 통해서 얻기를 바라는 미래에 대한‘안녕’이다. 주체인 민중이 대상인 ‘안녕’과 연접할 수 있도록 돕는 협조자는‘민화’이고 대립자는‘잡귀’나 ‘불운’이다. 결론적으로 민화에 그려진 호랑이, 까치, 소나무들을 통한 벽사행위로 가족들의 심리적 안정과 삶의 안녕을 추구할 수 있도록, 불안의 이접과 함께 안녕과 연접하 는 서술구조이다. 아울러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선조들의 생활사, 세시풍속, 집안의 대소사 등과 연계된 민화의 필요성과 역할, 민 중의 소망 관계와 구체적 실상을 이해하고, 민화의 대중성과 미의식, 예술성, 창의성을 모색하는 준거의 틀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대상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민화
  2.2. 그레마스의 기호학
 3. 민화 분석
  3.1. 담화구조 분석
  3.2. 기호-이야기체 구조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운한 Cho, Un Han. 서일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