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6정6대강보로 읽는 장진주사의 악곡구조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Jangjinjusa Piece Structure, read by 16 Jeong 6 Daegang Score

김영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an analysis of Jangjinjusa piece structure. At first, the piece, Jangjinjusa in 『Sequel Song Score』, is composed of 16 jeonggan scores. Other than other pieces having one janggu beat, the pieces in 『Sequel Song Score』have three janggu beats a piece, absurd. 『Sejong True History』 used the words jujanggyeokjiuiseol ilsiknaejeong(lean on sticks and strike the land to get beats on one evening), and didn’t use the terms. Here ‘Jujanggyeokji’ means two motions, ‘jujang (lean on the land)’ and gyeokji (‘strike the land’). With the hands and feet, players confine daegang and jeonggan, counting phrases. 「An introduction」 of 『Sejong True History Score』 described, “This score made 6 daegangs by lining 16 jeongs. ‘作 (‘make’) of 創作此譜 (making creative score)’ and ‘作 (‘make’) of 作六大綱 (making six classification) designate the same object ‘此譜 (this score)’, meaning that the contents of 此譜 (this score)’ is 16 jeongs and 6 daegangs. The relation between the meanings of ‘jujang (lean on the land)’ and introduction record ‘strike the land’as well as ‘lined 16 jeongs and made 6 daegangs’ shows the real motions of ‘lean on the land’ and ‘strike the land’ Though ‘lean on the land’ and ‘strike the land’ may be changed, the writings of ’16 jeongs’ and ‘6 daegangs’ are not changed. As shown above, the application of the analysis of 16 jeong 6 daegang scores to ‘Isakdaeyeop’, the original piece of the current songs, makes it clear that 1 gak means 16 jeongs and 6 daegangs in the first half gak (1st, 2nd, 3rd daegang) and in the second half gak (fifth, sixth, seventh daegang). In one place at ‘Eonrak’ and in two places at ‘Eonpyeon’, the phenomena appear, ‘first half gak omission, second half gak fixation’ The analysis on it to ‘Jangjinjusa’ shows the phenomena of ‘first half gak omission and second half gak fixation’ over all of 11 gaks ‘the sixth gak~the sixteenth gak’ The writing of 16 jeonggak shows the view of 1 gak=16 jeonggak. The general analysis of 1gak 16 jeongs 6 daegangs shows the accurate actuality. This study analyzed and examined the availability by 16 jeongs 6 daegangbos over four pieces, ‘Isakdaeyeop’, ‘Eonrak’, ‘Eonpyeon’, and ‘Jangjinju’. It was found that 16 jeongs and 6 daegangs of 『Sejong True History Score』were applied the same. But the users didn’t recognize 6 daegangs. Since the name of scores was designated to be ‘Jeongganbo’ arbitrarily in 1948, it was used continuously without an academic discussion. Furthermore, the conversion into ‘five-line score’ made it impossible to analyze it academically. Now, this study created a clue to analyze old scores into 16 jeongs 6 daegangs. It is not applied only to the songs but to all over the traditional music. It enables to study newly. The musical world classifies our traditional music with jeongak (regular music) and minsokak(folk music), but it is not classified. It is necessary to correct into ‘song, not ‘sijo’ and to put into a practical position rhythm theory that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장진주사의 악곡 구조 분석이다. 먼저『가곡보속』에 있는 장진주곡을 살펴보면 16정간보로 되어 있다. 또한 장구장단이 다른 곡들에는 1곡에 1개씩 있는 것과 달리 1곡에 3개의 장구장단이 있어 불합리한 것을 볼 수 있다. 『세종실록』에는 ‘柱杖擊地爲節 一夕內定 주장격지위절 일석내정(지팡이를 짚고 땅을 차면서 음악의 절도로 삼았으며 하룻저녁에 정하였다)’이라 하여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柱杖擊地’는 ‘柱杖(지팡이를 짚고 )’과 ‘擊地(땅을 차면서)’의 두 동작, 즉 손과 발을 써서 음악의 절도를 셈하며 대강과 정간을 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세조실록악보』, 「서문」의 기록을 살펴보면, “創作此譜 畫爲十六井 而 作六大綱(이 악보는 16井을 그어 6大綱을 만들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創作此譜’의 ‘作’과 ‘作六大綱’의 ‘作’은 동일한 대상‘此譜’를 가르 키고 있어 ‘此譜’의 내용이 ‘16정’과 ‘6대강’임을 알려주고 있다. 『세종실록』의 ‘柱杖’과 ‘擊地’의 두 동작의 의 미와 『세조실록악보』, 「서문」의 기록인 ‘畫爲十六井(16정을 그었다)’과‘作六大綱(6대강을 만들었다)’의 두 가 지 사실 관계를 밝혀보면 ‘16정’과 ‘6대강’의 두 가지 표기가 ‘柱杖’과 ‘擊地’의 실제 동작으로 나타난 것이다. 혹 시 ‘柱杖’과 ‘擊地’가 바뀔 수도 있지만 ‘16정’과 ‘6대강’의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16정6대강보의 해석을 현행가곡 중 원곡이랄 수 있는 ‘이삭대엽’에 적용하면 ‘전반각(1ㆍ2ㆍ3대강)’ ㆍ‘후반각(4ㆍ5ㆍ6대강)’ㆍ‘1각=16정6대강’이 나타난다. 또한 ‘전반각 생략ㆍ후반각 고정’현상이 나타나는데 ‘언 락’에 1곳, ‘언편’에 2곳이 있다. 그리고 이를‘장진주’에 적용하여 분석하면 ‘6각~16각’까지 11각 전체가‘전반각 생략ㆍ후반각 고정’ 현상이 나타난다. 비록 16정간만으로 기록되었다 하여 1각=16정간의 시각으로만 볼 수 없 고 1각 16정6대강을 합해 보아야만 정확한 실체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이삭대엽’ㆍ‘언락’ㆍ‘언편’ㆍ‘장진주’4곡에 대하여 16정 6대강보로 해석하고 그 유용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세조실록악보』의 16정 6대강이 변함없이 적용되었다. 현재는 6대강의 인식 없이 16정간만 전해져 내 려 왔던 것이다. 이것은 1948년 악보 명칭을 임의로 ‘정간보’라고 지칭하면서부터 학문적 논의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왔던 것이다. 더더군다나 ‘오선보’로 역보해서 학술적 분석을 할 수 없게 만든 것이었다. 이제 까지 16 정간으로만 연구하던 가곡보에 대해 6대강을 첨가하여 올바르게 분석해낼 수 있는 것이다. 오선보 역보는 그 다 음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6정 6대강보의 해석
 3. 현행가곡보의 적용
  3.1. 가곡보 분석 용어 설정
  3.2. 이삭대엽의 경우
  3.3. ‘언락’과 ‘언편’의 경우
 4. ‘장진주’에의 적용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덕 Kim, Yeong-duck. 숭실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