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2 : 신묘 통신사행과 유구사절단의 비교

통신사(通信使)와의 비교를 통해 본 유구사절(琉球使節) - 荻生徂徠의 <琉球聘使記>를 자료로 하여 -

원문정보

The T’ongsinsa as Seen in Comparison withthe Ryūkūan Missions to Edo - A Study of Ogyū Sorai’s Ryūkū heishi ki -

통신사(通信使)와의 비교를 통해 본 유구사절(琉球使節) - 적생조래의 <류구빙사기>를 자료로 하여 -

구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compares Ogyū Sorai’s observations of the 1710 Ryūkūan Mission to Edo in the record Ryūkū heishi ki(琉球聘使記) with the Korean Embassy to Edo (t’ongsinsa) records in 1711 to study the Japanese perception of the Ryūkūan Mission and how it differed from that of the Korean Embassy. Although the bakufu formally let the Ryūkūan Kingdom alone as an independent country, Ogyū already perceived it as a de facto vassal state of the Satsuma Domain. Hence, Ogyū criticized the bakufu for recognizing the Ryūkū Kingdom on equal terms, but considered it to be a civilized state realizing the dignity of Ming China, as seen in the Ryūkūan Mission‘s procession with their Sinic-style robes and court music. The diplomats of the neighboring country of Joseon were of lower status than those of the Ryūkū Kingdom, but were received by high Japanese officials and enjoyed preferential treatment even in their entrance. Arai Hakuseki tried to change this when reforming the procedure for diplomatic missions, but did not do so without mediation from Joseon. The Ryūkyū and Joseon envoys were totally different in nature. The former, who deliberately acted as foreign delegates, differed from the latter who sought a low profile. However, despite their intent, the Joseon envoys stimulated Japan’s interest in things foreign and their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were appreciated along with the court music of Ryūkū. The dual nature of the Ryūkū envoys and the interest in the foreign of the Japanese commoners were the main reasons why the nature of the Joseon envoys was misunderstood.

한국어

본 연구는 오규 소라이(荻生徂徠)가 1710년 유구사절(琉球使節)을 관찰한 기록인 󰡔유구빙사기(琉球聘使記)󰡕 를 1711년 여타 통신사 기록과 비교하여, 일본인의 유구사절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통신사와의 변별점을 고 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막부는 유구를 표면상 의례에서는 독립적인 외국으로 보이도록 놓아두었다. 그러나 오규 소라이는 유구가 사쓰 마에 복속된 사실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 유구가 대등한 국가인 것처럼 위의를 갖추는 것에 대해서 비판하였 으나 동시에 명나라의 위의를 구현하는 문명국이라고 생각하였다. 문명국의 이미지는 유구사절의 행렬에 보이 는 중국풍의 의복과 중국풍의 아악에서 구현되었다. 교린국인 조선은 유구보다 낮은 신분의 사신을 파견하면서 도 일본의 높은 지위의 인물에게 접대를 받았고 입성하는 의례 등에서도 우대를 받았다. 아라이 하쿠세키[新井 白石]는 빙례개정을 통해 이런 점을 바로잡으려 하였으나 조선과의 조율 없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유구사절과 통신사는 전혀 다른 성격의 외국사절이었다. 고의로 이국사절을 연출하였던 유구사절과 달리 통신 사는 무위를 과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의도와는 달리 통신사도 유구사절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이국취미를 자 극하였고, 통신사의 시서화는 유구사절의 아악처럼 일본에서 향유되었다. 유구사절의 이중적 성격과 일본 민간 의 이국취미는 통신사의 성격을 오해하는 주된 원인이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통신사와 유구사절의 예우 차이
 3. 통신사와 유구사절의 인적 구성의 차이
 4. 에도에서의 연회를 통해 본 양국의 차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지현 Koo, Jea-hyoun. 선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