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폴 틸리히의 기도 신학에 관한 소고

원문정보

A Brief Study of Paul Tillich’s Theology of Prayer

백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Philip Sheldrake, there is a tendency in the study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which the so- called inner experience is often dissociated from spiritual practice and also spiritual practice from everyday life. Sheldrake calls this tendency the “detached interiority.”In principle, prayer as a way of spiritual practice cannot be separate both from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from everyday life. A theology of prayer is therefore demanded that is based on a healthy theology and enhances a discerning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veryday life. This article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Protestant theology of prayer in exploring Paul Tillich ’s understanding of prayer. For Tillich, prayer is the spiritual longing of a finite being to return to its origin and the elevation of the heart toward the ultimate concern. An ecstatic and revelatory event, it also has to do with participating in the ground and abyss of being that transcends the subject-object relation. His understanding of prayer has a Protestant theological background, in which it is related to various theological them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will take a brief look at Tillich’s typology of the philosophy of religion, which constitutes the background of his theology prayer. In his thought, mysticism and contemplation are illustrated as the sacramental-vertical element of religion that is well preserved in the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ism should make this element as the foundation of its creative development. In what follows, we will explore his definitive expressions for prayer, then, on this basis, sketch out spiritual theological implications of his theology of prayer. Tillich’s theology of prayer is mediates prayer and everyday life, provides a basic matrix in which to construct an effective Protestant theology of prayer, and can be used as a methodological principle in incorporating various types of prayer developed in the trad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nto the context of the Protestant church.

한국어

현대 영성에 관한 논의에서 발견되는 그릇된 경향성 중의 하나는 쉘드레이크가 ‘무관심한 내면성’이라고 부르 는 현상으로써, 내면적인 경험이 영적인 실천과 동떨어지고 영적인 실천은 일상세계에의 참여로부터 분리되 는 것이다. 영적 실천의 하나인 기도는 기독교적 비전과 이해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일상세계로부터 분리될 수도 없다. 그러므로 기도자로 하여금 일상적 삶에 분별력을 가지고 참여하도록 독려하면서 건강한 기독교 비 전에 바탕을 두는 기도의 신학이 요청된다. 이 논문은 폴 틸리히의 기도에 대한 이해를 살펴봄으로써 개신교적 기도 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 적이 있다. 틸리히에게 기도는 존재의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영적인 갈망이요 궁극적 관심을 향한 마음의 고양 이다. 이는 탈아적이고 계시적인 사건으로써 주체-객체 관계를 넘어서는 존재의 근원과 심연에의 참여이다. 그에게 기도는 계시, 섭리, 성령의 임재, 그리고 믿음과 같은 개신교 신학적인 주제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먼저 틸리히의 기도 신학의 배경으로서 그의 종교철학적 유형론을 간략하게 검토한 다. 그에게 신비주의와 관상은 가톨릭교회에 잘 보존된 성사적-수직적 요소인데, 개신교는 이를 기초로 삼아 야만 자신의 독특성을 창조적으로 발현해 나갈 수 있다. 이어서, 틸리히의 저술 속에 나타난 기도에 대한 대표 적인 정의들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시도한다. 이 분석을 기초로 틸리히의 기도 신학의 영성학적 함의를 결 론부에서 약술한다. 틸리히의 기도 신학은 기도와 일상적 삶을 매개하고, 개신교적 영성 신학의 구성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며, 기독교 영성 전통 속에서 발전되어 온 다양한 형태의 기도의 방법적 원리로써 활용될 수 있 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 기도, 신학, 그리고 일상적 삶
 II. 개신교의 기초로서의 신비주의와 관상
 III. 틸리히의 기도 이해
  1. 기도는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영적인 갈망이요 욕동
  2. 기도는 마음을 하나님께로 고양하는 것
  3. 관상으로 이어지는 기도
 IV. 틸리히의 기도 신학의 영성학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상훈 Sanghoon Baek. 한일장신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 영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