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황관(tiara)을 통해 본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의 자의식

원문정보

The self-consciousness of Pope Boniface VIII as seen through the Tiara

변종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iara is a symbol of papal authority and it was originally worn outside of Catholic Liturgy. The tiara was not triple-tiered from the very beginning. It took on the form of a triple crown. Over time, it received various titles like 'regum' and 'cornona' to represent the Pope's sovereignty over the world in addition to his religious authority. Especially based on Donatio Constantini, the Pope had the right to require a visible status as emperor, and the tiara came to represent this dimension of “emperor imitation”. This aspect of the tiara began with Pope Gregory VII and was developed by Popes Innocence III and Gregory IX, before finally reaching its zenith in Pope Boniface VIII. Pope Boniface VIII lived in an age when many cities and feudal lords began to oppose the papal sovereignty. In the midst of such political turmoil, Boniface VIII stepped to emphasize the One Church while identifying the Church as the world, including the State, in its entirety. In other words, the Church was Christ's mystical body in its supernatural dimension, and a political state exists in its natural dimension. This Church establishes herself in the world as a Christian State, a temporal institution within a society. Hence, there exists only One Church(Eccelsia), which is both Church and State, and this Church has solely one head as proclaimed in Unam sanctam. The Pope then, as a successor of Peter and a Vicar of Christ on earth, wears the tiara on his head as a symbol of his dignity as a priest and an emperor. The tiara thus represents his sovereignty over both heaven and earth. Living in an age highlighted by the struggle between ecclesiastical and secular authorities, Boniface VIII sought to emphasize unity between the two by using a symbolic language. In this social surroundings, he created a tiara with double crowns. Through the double crown, the Pope was able to show that all his authority came directly from Christ. His authority was thus divine in origin, and it was in line with the divine law and order that secular powers must submit to the spiritual. Denial of this order meant denial of Christ Himself, the giver of this authority. This universal sovereignty of the Pope reveals the “one sheepfold under one shepherd” idea. Denying such papal authority is equivalent to denying entrance into this one sheepfold. Such a person who denies a papal authority remains outside the Church, where there is neither salvation nor forgiveness of sins. Such self-consciousness of Pope Boniface VIII actually remained intact throughout the history of Popes, though not in the exact same form, until the Papal State was revoked by Giuseppe Garibaldi in 1870. And as Paul VI relinquished the tripe crown in the spirit of Vatican II, it was revealed that the political State and the Church are two independent, autonomous bodies that have their own peculiar domain. The two, though different in status, are equally called to serve the personal and social vocation of one mankind.

한국어

교황관은 교황의 권한을 드러내는 표징이지만, 가톨릭교회의 전례 밖에서 사용하던 것이다. 더욱이 교황관이 처음부터 삼층관의 형태를 지닌 것은 아니다. 역사적 변천 과정 안에서 삼층관의 모습을 갖게 된 교황관은 ‘레늄’(regnum), ‘코로나’(corona) 등으로 표현되면서 교황권이 단순히 종교적 권한이 아닌 세상에 대한 통치권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별히「콘스탄티누스 기진장」에 근거하여 교황은 외형적으로 황제와 같은 지위를 요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황관은 ‘황제에 대한 모방’이라는 차원을 보여줄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은 교황 그레고리오 7세부터 시작하여 인노첸시오 3세와 그레고리오 9세를 거쳐 보니파키우스 8세에게서 절정을 이루게 된다. 많은 도시와 제후들이 교황의 통치권에 반발하는 시작한 시대를 살았던 보니파키우스 8세는 정치적 혼란 속에서 하나인 교회를 강조하면서, 이 교회가 국가를 포함한 세상 전체임을 주장하였다. 곧 교회는 그리스도의 초자연적 신비체이며 동시에 자연적 정치 공동체로서 그리스도교 국가라고 부르는 사회의 현세적 체계로 자신을 이 세상에 형성한다. 따라서 교회이며 동시에 국가인 하나의 교회(Ecclesia)가 존재하는 것이며, 이 교회는「우남 상탐」이 선포하듯 하나의 머리를 가진다. 베드로의 후계자인 교황은 지상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자이기에 사제의 품위와 황제 품위의 상징물 곧 지상의 통치권과 하늘의 통치권의 상징물인 교황관을 머리에 쓰는 것이다. 교권과 세속권의 투쟁으로 점철된 역사의 정점을 드러낸 보니파키우스 8세는 교권과 세속권의 일치성을 교황관이라는 상징 언어를 통해 제시하고자 교황관을 이중관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더욱이 교황은 이중관을 통해 자신의 모든 권한이 그리스도로부터 온 것이라는 측면을 제시하였다. 자신의 권한이 신적 기원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세속 권력이 영적 권력에 복종하는 것은 하느님의 법이요 하느님이 세운 질서인 것이다. 그렇기에 이를 거부하는 것은 이 권한을 부여한 그리스도를 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황의 보편적 지배권론은 ‘한 목자 아래 있는 한 양 떼’라는 것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러한 교황의 권한을 부정하는 것은 하나의 양 떼 안에 들어오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한다면 교회 밖에 있는 것이기에, 구원도 죄의 용서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니파키우스 8세의 자의식은, 비록 동일한 모습은 아닐지라도, 1870년 주세페 가리발디(Giuseppe Garibaldi)에 의해 교황령이 사라질 때까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 안에서 교황 바오로 6세는 삼중관을 포기하면서, 정치 공동체와 교회는 그 고유 영역에서 서로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양자는, 자격은 다르지만, 동일한 인간들의 개인적 사회적 소명에 봉사한다는 것을 드러내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황관의 기원 및 발전
  1. 티아라(tiara)의 의미
  2. 교황관의 역사적 변화
 Ⅲ. 교황관에 표현된 보니파키우스 8세의 사상
  1. 시대적 배경
  2. 전능권의 표현인 교황관
 Ⅳ. 나가는 말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변종찬 Jong-Chan BYEON. 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