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전통 편금사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 of Materials to Restore Traditional Gold Threads

유지아, 김지은, 한예빈, 이상현, 정용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old textile is Korean traditional weaving technique using the gold thread since 5th century. The making technique of gold thread was written in various references, but it is severed because the gold thread weaving equipment and sumptuous moods were forbidden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re are some studies of traditional gold thread which are mainly about conservation treatment of cleaning and strength. To restore traditional gold thread, investigation of material and manufacturing technique is vitally required. The gold threads are composed of gold leaf, adhesive and base sheet. Gold leaf and base sheet are available for investigation because they are exposed to the surface, whereas adhesive is not easy to investigate because it is not exposed to the surface. In this study, samples are made of pure and impure gold, animal glue and lacquer, and various types of Hanji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to compare materials for gold threads. As a result of morphological character and stability evaluation, the optimum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gold threads are pure gold, animal glue and Dochimji(smoothing paper by beat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gold threads techniques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gold threads hereafter research.

한국어

직금직물은 금사를 이용한 섬유공예 기술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공예기법이다. 이와 같은 금사 공예 기법은 우리나라의 문헌기록에서 다양하게 기록되고 있으나 영조 9년 문직기의 철폐와 더불어 현재 금사 제작 기술은 단절된 상태이다. 현재까지 이뤄진 전통 금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보존처리를 위한 세척 및 강화 등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전통 금사의 복원과 재현을 위해서는 재료와 제작기법의 규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금사는 금박과 접착제, 배지로 이루어지며 특히 접착제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사의 각 층을 이루는 재료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문헌과 국외 금사 제작 공방 조사를 토대로 순금 및 가금, 아교 및 옻칠, 다양한 조건의 한지를 선정하여 의사 시료를 제작하였다. 각 재료별 형태적 특성과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금박은 순금, 접착제는 아교, 배지는 도침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 금사의 복원과 현대화 를 위해서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제작 기법 및 제직 기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재료 및 방법
  2.1. 재료 선정
  2.2. 방법
 3. 재료별 특성 비교
  3.1. 표면 특성
  3.2. 색도 및 광택도
 4. 안정성 평가 결과
  4.1. 형태적 특성
  4.2. 색도 및 광택도 차이
 5.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지아 Ji A Yu.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예방보존연구소
  • 김지은 Ji Eun Kim.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한예빈 Ye Bin Han.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이상현 Sang Hyeon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무형유산학과
  • 정용재 Yong Jae Ch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