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주제 : 한국어문학의 접촉과 변동 - 移, 異, 以 ① 여행과 유학 Ⅱ

조선시대 한글 간찰(언간)의 여성주의적 가치에 대한 재고찰 시론

원문정보

A Study on feminism study of Korean correspondence during Chosun dynasty

홍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 demonstration discussion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feminism of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during Chosun Dynasty. For this purpose, it was pointed out that existing studies until now have been focused on the materials from early Chosun Dynasty which were excavated from tombs.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major studies highlighted only specific writers who were working for Sincheon Kang or Empress Insun. By conducting overall research on reference group, the typical reference groups representing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of Chosun Dynasty are the ones handed down within the family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 importance in the process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placed on the male point of view in the family.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feminism among the reference group of “material handed down within the family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for having general circumstances of using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from Changwon Hwang Family was selected and especially the correspondences between females were studi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females. The most closely studied was the correspondences between families in law. Several unexpected contents were found which were beyond the greetings for form’s sake. Firstly, they were sharing a broad range of relatives as well as frequent greetings. Secondly, they were exchanging strategic opinions from each side and showing off their power for arranging marriage.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research is to examine biased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feminism of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of the late Chosun Dynasty.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시대 한글 간찰의 여성주의적 연구 가능성을 타진해보기 위한 시론적 논의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글 간찰 연구가 주로 ‘조선 전기’의 ‘묘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신천 강씨나 인선왕후와 같이 강한 개성을 가진 여성 필자를 부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지적하였 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 간찰의 대다수를 이루는 대표적인 자료군은 ‘조선후기’의 ‘가문 전승’ 자료이며, 그 수집, 보존, 전승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가문 남성’의 시각일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반적인 한글 간찰의 상황인 ‘조선후기 가문 전승’ 자료군 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적 의의를 찾기 위한 시론적 논의를 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가문전승 자료군의 전반적 양상에 부합하는 창원 황씨 가문의 한글 간찰을 택해, 그 중에서도 ‘여성 간’에 왕복된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여성들끼리의 관계’가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본 ‘안사돈간 왕래 한글 간찰’에서는 사돈간 여 성들이 형식적인 말만 주고받는 관계였으리라는 예상에서 벗어나는 내용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는 일상 안부의 잦은 교환과 친인척 범위의 광범위한 공유이다. 창원 황씨가의 안사돈간 한글 간찰은 19세기에 이르러서도 혼인한 딸이 여전히 자기 집에 머무는 반친영(半親迎)의 혼례 풍습 속에서 결혼한 아들은 자주 처가 방문을 해야 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양 가문의 잦은 교류 통로가 되었고, 사돈간 여성들은 잦은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과 가족에 관계된 일상적 안부를 나누고 어 렵고 힘들다는 호소를 나눌 수도 있는 관계를 맺게 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는 혼례 과정에서의 전략적인 의사 교환과 힘겨루기의 관계이다. 사돈간 여성들은 간찰을 통해 혼례 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불편한 심기를 노골적 으로 드러내기도 하고 상대와 힘겨루기를 하는 내용을 주고받기도 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일부 작품에 지나치게 편향되었던 연구사적 시각 을 성찰하고, 조선후기 여성 한글 간찰의 새로운 여성주의적 연구 가능성을 모색 하고자 했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조선전기 한글 간찰에 대한 연구사적 집중의 문제- ‘모녀간편지’ 자료의 특수성
 3. 조선후기 여성간 한글 간찰의 전반적 자료상황
 4. 여성간 한글 간찰을 통해 본 조선후기 여성간 관계의 양상과 특징 - 창원 황씨가문의 사돈간 간찰을 중심으로
  4.1 결혼한 아들의 처가 방문으로 인한 안부 교환
  4.2 혼례 과정에서의 의사 교환과 힘겨루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인숙 Hong, Insook. 선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