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

원문정보

Students’ Perception Towards Technology in Korea Elementary School

심현구, 이춘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f technology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gender, parent’s occupation, area of residence, and technology‐related practice hou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surveyed 800 6th graders from 32 classes of 16 schools selected from 16 cities and provinces throughout the country. For the surve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f technology,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cale was tested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2.0. From thes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f technology is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This means that, compared to girls, boys are more interested in technologies and exposed more to technological environments or activities. Seco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f technology is not related to their parent’s technology‐related occupation. Third, according to the area of residenc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f technology is higher in children living in large cities and rural villages. Compared to those in small‐medium cities, children in large cities and those at rural villages have higher perception of technology. Fourth,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f technology is higher in children having many technology‐related practice hou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Firs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find specific variables influencing girls’ perception of technology. Second, the technology class need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girls in order to enhance their perception of technology. Third, elementary schools in small‐medium cities need to conduct researchonthe curriculums, reflecting technology‐ related experiential learning, in order to fill the gap among the areas. Fourth, for sufficient technology‐related practice hou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ractice by securing adequate class hours and expanding practice room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과 관련된 변인(성별, 부모의 직업, 거주 지역, 실습시간)에 따라 기술에 대한 인식에 어떤 차이 가 있는지를 구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의 16개 학교 32학급의 6학년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기술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검증 및 기술 분석, t검증, F검증, 사후검증 등을 실시하고 통계 검증에 필요한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다. 남 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기술에 대한 흥미를 갖고 기술적인 환경이나 활동에 많이 노출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은 부모의 기술관련 직업과 관련이 없다. 초등학생 수준에서는 부모의 기술관련 직업이 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셋째, 지역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은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이 높다. 중소도시에 비해 대도시의 학 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이 높고 중소도시에 비해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이 높다. 넷째, 초등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식은 실습시간이 많을수록 높다. 실과의 실습시간이 기술에 대한 인식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인식의 개념
  2. 기술에 대한 인식의 측정의 예
 III. 연구의 방법
  1. 연구 대상과 표집
  2. 측정도구
  3. 자료의 처리
 IV. 연구 결과 및 해석
  1. 성별에 따른 기술에 대한 인식 분석
  2. 부모의 직업에 따른 기술에 대한 인식 분석
  3. 거주 지역에 따른 기술에 대한 인식 분석
  4. 기술 관련 실습시간에 따른 기술에 대한 인식 분석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현구 Shim, Hyun-ku. 신석초등학교
  • 이춘식 Lee, Choon-Si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