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명률직해』의 계통과 서지적 특징

원문정보

On Versions an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emyengryul-Jikhae

장경준, 진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versions of Daemyengryul-Jikhae and to summariz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select the fine print of each editions. The different versions of Daemyengryul-Jikhae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a period of original script(底本). One is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and the other is ‘after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The former is classified into one edition and the latter is classified into five editions which are Gongju edition(estimated), Gwangju edition, Jinju edition, Nagan edition and Pyeongyang edition. First,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version in view of original script. And this version is also distinguished from material characteristics. There are two prints of this version. And the print possessed at Hosa’s collection of books is the fine print. Second, Gongju edition(estimated) was based on ‘after Sejong thirteen-year revised version’ and was published in Gongju. This edition had been become a model of other editions afterwards. There are two prints of this edition and the print possessed at Naegak’s collection of books is the fine print. Third, Gwangju edition was published in Gwangju and Naju area. Many errors were occurred in process of engraving. There are six prints of this edition. And the prints possessed at Yonsei University, Tongmungwan, Kyujanggak are the fine prints. Fourth, Jinju edition was engraved in Jinju in the late 17th century. A part of contents of volume 12 were substituted with Daemyengryul-Ganghae and an additional article was inserted in volume 13. There are three prints of this edition. The prints possessed at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Gyeongsang Universit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are the fine prints. Fifth, Nagan edition was engraved in Jeonju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printed in Nagan. The correction and occurrence of errors were co-occurred in process of engraving. There are eight prints of this edition and some of them have an additional article inserted in volume 28. The print possessed at Seokjeon’s collection of books is the fine print. Sixth, Pyeongyang edition was published in Pyeongyang in 1686 and propagated widely. This edition have many errors in comparison with others. There are five prints of this edition. And the prints possessed at Kyujanggak, Chungnam University are the fine prints.

한국어

이 글은 현전하는 『대명률직해』의 여러 판본을 조사한 결과를 종합하여 이본의 계통을 밝히 고, 계통별로 서지적 특징을 요약하면서 선본을 선정한 것이다. 『대명률직해』의 이본은 저본의 성립 시 기에 따라 ‘세종 13년 수정본’과 ‘세종 13년 이후 수정 본’의 두 가지 계통으로 크게 나뉜다. 그리고 같은 목판으로 인출하였는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세종 13년 수정본은 한 계통, 세종 13년 이후 수정본은 공주판(추정), 광주판, 진주판, 낙안판, 평양판의 다섯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세종 13년 수정본 계통은 나머지 계통과는 저본이 다르고 형태상으로도 큰 차이를 보인 다. 16세기 중엽의 중간본이 두 곳에 전하며 호사문고본이 선본이다. 둘째, 공주판(추정)은 세종 13년 이후 수정본을 1546년 공주에서 중간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간행된 판본들의 모본이 되었다. 두 곳에 전하며 내각문고본이 선본이다. 셋째, 광주판은 16세기 후반에 광주, 나주 지역에서 공주판을 다시 새긴 것으로 판각 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생겼다. 모두 6개가 전하며 연세대본, 통문관본, 규장각본(古)가 선본이다. 넷째, 진주판은 17세기 후반에 진주에서 광주판을 다시 새긴 것으로, 권12의 일부가 강해로 대체되고 권13에 조항 하나가 추가되었다. 세 곳에 전하며 제2책과 제4책은 만송문고본, 제3책은 경상대본, 제1책은 대가대본이 선본이다. 다섯째, 낙안판은 17세기 후반에 전주에서 새겨 낙안에서 인출한 것으로 진주판의 오류를 일부 수정한 반면 새로운 오류도 많이 생겼다. 모두 8개가 전하며 일부에서는 권28에 조항 하나 가 추가되었다. 석전문고본이 선본이다. 여섯째, 평양판은 1686년 평양에서 간행하여 널리 보급된 것으로 다른 계통에 비해 오류가 많은 편이다. 모두 5개가 전하며 규장각본, 충남대본이 선본이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대명률직해』의 계통
  2.1 저본의 성립 시기에 따른 분류
  2.2 서지적 차이에 따른 분류
 3. 각 계통의 서지적 특징
  3.1 세종 13년 수정본 계통
  3.2 세종 13년 이후 수정본 계통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경준 Chang, Kyong-Jun.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 진윤정 Jin, Yun-Jeong.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