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emodern Buddhist Documents in North Korea

이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Korean War, the information network of the premodern Buddhist documents in North Korea has been completely blocked, and therefore, nobody knew what kind of documents were kept in the country. But the present author recently discovered the List of Valuable Property of the Buddhist Temples in Joseon Korea (26 books in total, published in 1940 or thereabouts) and the Library Catalog of the Library of Kim Il-sung University (published in 1958) from the Central Library of Dongkuk University. The List of Valuable Property of the Buddhist Temples in Joseon Korea contains an inventory of property of 24 templ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8 temples among them were located in today's North Korean territory. This study sorts out the premodern Buddhist documents from the list and analyzes the list of relevant documents of Kim Il-sung University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those documents have. The 8 temples in North Korean territory are temples of Yujeom, Payeop, Seongbul, Yeongmyeong, Beopheung, Bohyeon, Seokwang, and Gwiju. The documents kept in these temples and other temples annexed to them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uddhist writings, wooden blocks, and temple histories. Most of the Buddhist writings in the list are the ones that are available in South Korea, but since the wooden blocks and temple histories are the only copies in existence, there are needs for a spot investigation in North Korea. Especially the royal writings by Kings of Joseon Korea, governmental documents, and temple history books have an important cultural significance. By securing the list of North Korean premodern Buddhist documents, this study also aims to construct a firm base of researches on the said documents, in case it became available to conduct such studies whe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geography shifts. One day, two Koreas will have a better relationship and it would enable academic relations between them as well. Researchers from two Koreas will conduct a joint research on the premodern Buddhist documents in North Korea, and then this study could be a little help for them.

한국어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불교 고문헌에 대한 정보가 차단되었기 때문에 북한 내에 어떤 불교 고문헌 이 존재하는지 모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필자는 근래에 동국대 도서관에서 1940년경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조선사찰귀중재산목록』(총 26책)과 1958년에 작성된 『김일성종합대학 도서관 도서 목록』을 발견하였다. 일제강점기 24개 本末寺의 사찰재산을 기록하고 있는『조선사찰귀중재산목록』가운데 8개 本末寺가 현재 북한지역에 속한다.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재산 목록 가운데 불교 고문헌 을 정리하고, 또 한국전쟁 이후에 작성된 김일성종합대학의 불교 고문헌 목록을 정리하여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북한 소재 8개 本寺는 유점사, 패엽사, 성불사, 영명사, 법흥사, 보현사, 석왕사, 귀주사이다. 이 사찰들과 그 末寺의 소장 불교 고문헌은 佛書類, 木板類, 寺誌類 등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불서류는 현재 국내에서도 구할 수 있는 자료가 대부분이지만 목판류와 사지류는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북한 방문을 통한 조사 및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조선시대 국왕의 어필을 비롯하여 조정에서 발급한 완문, 사찰의 역사를 기록한 사적기 등의 사지류는 문화적 가치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불교 고문헌을 정리해 둠으로써 국제정치적 여건에 따라 갑자기 찾아올 지도 모를 북한 소장 불교 고문헌 연구를 미리 대비하고자 하는데 본고의 목적이 있다. 남북한의 우호적인 관계 가 증진되어 순수한 학문적 교류가 이루어진다면 북한에 소장되어 있는 불교 고문헌을 남북한 학자 들이 공동으로 조사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그때 본고가 북한의 불교 고문헌 연구에 조그만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북한 소재 사찰 간행 불서
 3. 북한 소재 사찰 불서 소장 목록
  3.1 일제강점기 사찰 소장 목록
  3.2 김일성종합대학 소장 불서 목록
 4. 북한 불교 고문헌의 특성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종수 Lee, Jong-Su.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