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任允摯堂의 送序文 「拜送仲氏南歸序」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Im Yunjidang’s Preface to Parting “Baesongjoongshinamguiseo”

임윤지당의 송서문 「배송중씨남귀서」에 관한 연구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Im Yunjidang’s newly-discovered preface to parting “Baesongjoongshinamguiseo” by looking over the life and academic works of Im Yunjidang and examining the bibliography and content of “Baesongjoongshinamguiseo” Im Yunjidang(任允摯堂, 1721-1793) was a female Neo-Confucian scholar in Yeongjo’s and Jeongjo’s reign of Joseon, whose academic origins lay in the late Joseon Yulgok faction’s branch of semiotics of cosmo-ontology, and whose teacher was her older brother Nokmun Im Seongju. The only remaining work by Im Yunjidang is a book in two volumes called the Yunjidangyugo(允摯堂遺稿) which means “Posthumous Works of Yunjidang.” “Baesongjoongshinamguiseo” is a preface to parting written for her second older brother Im Seongju, a writing not included in Yunjidangyugo which enables modern-day scholars to study her new literary form. The preface to parting describes the sadness of parting when her older brother Im Seongju left Sanho in Wonju, the home to which he relocated from Nokmun, Gongju from the sixth to ten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1782-1786). The writing is thought to have been composed in the tenth year of Jeongjo’s reign when her brother left, but seeing from the eight missing characters in the text, it is unknown whether it was delivered to Im Seongju. Im Yunjidang wrote it in her own hand while incorporating An Jin-kyeong, Jeo Suryang and Woo Sae-nam’s penmanship, producing clear and elegant writing. The writing can be divided into 7 paragraphs according to the content development. The framework of Im Yunjidang’s record is built on how Im Seongju relocated from Nokmun, Gongju to live in Sanho, Wonju from the sixth to tenth year of Jeongjo’s reign. It describes the joy of life that comes from loving and admiring him as her academic teacher and shows well the pain of parting, adding three wishes in the conclusion to specify her longings.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basic future studies of private records as well as in those of bibliography, record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anguage.

한국어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임윤지당(任允摯堂)의 송서문(送序文)인 「배송중씨남귀서(拜送仲 氏南歸序)」를 대상으로 임윤당의 생애와 학문 및 「배송중씨남귀서」의 서지적․내용적 측 면을 연구한 것이다. 임윤지당(任允摯堂, 1721-1793)은 조선 영․정조의 여류 성리학자로. 학문의 연원은 조선 후기 율곡계(栗谷系)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기파(主氣派)이며, 스승 은 오빠인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이다. 임윤지당의 문집은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 2권 1책이 남아 있다. 이 필첩은 임윤지당이 둘째 오빠 임성주를 위해 쓴 송서문(送序文)으로 그녀의 새로운 문학적 형식이 탐토될 수 있는 글이며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에 수록되지 않았다. 이 필첩은 임윤지당이 오빠인 임성주가 정조 6년(1782)부터 정조 10년(1786)까지 공 주 녹문으로부터 원주의 산호(山湖)로 옮겨 살다가 떠날 때 이별의 슬픔을 담아 서술한 송서 문이다. 이 글은 오빠가 떠나던 정조 10년(1786)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며 본문에 빠진 글자 가 8자나 되는 것으로 보아 임성주에게 전달되었는지 알 수 없다. 이는 임윤지당 자필의 수고 본이며 서체는 안진경(顔眞卿)의 서체(書體)에 저수량(諸遂良)과 우세남(虞世南)의 필의가 깃든 단아(端雅)하고 해정(楷正)한 글씨이다. 이 글은 내용전개상 7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임윤지당은 임성주가 정조 6년(1782)부터 정조 10년(1786)까지 공주 녹문으로부터 원주의 산호(山湖)로 옮겨 살았던 내용을 골격으로 하여 오빠를 학문의 스승으로 사모하고 존경하 면서 살아가는 삶의 기쁨과 이별의 아픔을 잘 나타냈으며, 마지막에는 세 가지 소원을 결론 에 넣어 자신의 소망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기록이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임윤지당(任允摯堂)의 생애와 학문
  2.1 임윤지당의 생애
  2.2 임윤지당의 학문
 3. 「배송중씨남귀서(拜送仲氏南歸序)」의 분석
  3.1 서지적 분석
  3.2 내용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