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高麗時代 『密敎大藏』卷9의 書誌的 硏究

원문정보

A Bibliographical Study of Milgyodaejang(密敎大藏) Vol.9

고려시대 『밀교대장』권9의 서지적 연구

남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had covered the esoteric Buddhism book Milgyodaejang vol.9, which has not been revealed to the public yet. As it was the first time being observed thoughtfully, it had been investigated via bibliographical standpoint. Accentuat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ipitaka Koreana and Milgyodaejang vol.9 in comparative reviews, following facts were discovered;1. Milgyodaejang vol.9 was composed of 14 woodblocks, similar to shapes of butterfly wings. Each block was arranged in 30 lines and 15 letters per line. The content of the book was written in following order; Buddhist scripture, ordinal letter, the author, Siddham(悉曇) and Chinese transliteration. 2. This book is regarded as a part of Milgyodaejang series that were made of 90 volumes in Goryo Dynasty. According to records, 40 volumes of gold-written type were additionally added to Milgyodaejang series, as total of 130 volumes. However, the additional 40 volumes had not remained to the present. 3. The signature of engraver ‘Backyeodo(白如刀)’ was spotted in page 9 of Milgyodaejang vol.9, but not in Tripitaka Koreana. 4. Milgyodaejang vol.9 covers 141th letter to 150th letter in Tripitaka Koreana which are ‘Rey(賴), Geup (及), Sin(身) and Dae(大).’5. Comparing Siddam alphabets used in Milgyodaejang vol.9 and Tripitaka Koreana, some of the alphabets used in Milgyodaejang vol.9 were not included in Tripitaka Koreana, which implies that Milgyodaejang vol.9 was referenced by other books than Tripitaka Koreana. 6. Chinese alphabets were written in various ways; break-point mark, long or short sound marking, and intonation marking. Same patterns of alphabets were also found in OdaeJinun(五大眞言) written in Chosun dynasty. 7. Taking into account of the publication date of Tripitaka Koreana and records in Ikjaenango (益齋亂藁), the publication date of Milgyodaejang volume 9 is presumably around late 13c to early 14c. By identifying these following facts through bibliographical examination, the true worthiness of Milgyodaejang vol.9 has been unearthed.

한국어

이 연구는 고려 불교사에 있어서 문헌기록으로만 전해지던『密敎大藏』90권 가운데 권9(와 권61)의 실물이 확인됨에 따라 대상 자료를 서지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으로 특히 再雕大藏經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비교․검토 한 것을 중심으로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밀교대장』권9는 전체 14丈의 蝴蝶裝 형태로 각 장은 전체 30행을 8/7/7/8행으로 구분하여 접은 형 태이며 한 행은 15자로 배열하였다. 본문의 순서는 수록경전의 제목, 함차, 저자사항과 주문의 제목에 이어 悉曇字行과 漢字音行을 병기시켰으며 권말에는 音義가 있으나 주로 音을 反切로 표기하였다. 둘째, 기록상 이 자료는 각종 사료에 나타난 『密敎大藏』90권에 해당하고 추가된 40권의 사본은 현재 확인 되지 않는다. 셋째, 본문 중 제9장에는 ‘白如刀’라 하여 각수명이 작게 양각으로 새겨져 있으나 재조대장경의 각수명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넷째, 수록된 경전은 대장경의 천자문 함차에서 141번째 ‘賴’, 142번째 ‘及’, 147번째 ‘身’, 148번째 ‘髮’, 150번 째 ‘大’函에 걸쳐 해당한 진언부분을 수록하고 있다. 다섯째, 해당된 진언부분을 再雕大藏經과 비교하면 悉曇字의 부분은 재조본에 없으며 이는 당시에 통행되던 판본이나 필사본류를 저본으로 등재본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구체적으로 표제도 재조본과는 달리 축 약형으로 표현되어 있다. 여섯째, 한자음 표기에 기입된 구절구분표시, 장단음을 비롯한 성조표시, 그 밖의 聲韻에 관련된 표시 등이 있으며 이는 五大眞言의 고려본이나 조선본(한글병기)과 같은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密敎大藏』권9의 서지적 검토를 통해 13-14세기 고려 불교사에서 중심적 사상이었던 밀교의 영향 이 집약된 총서 자료집으로서의 가치를 살펴볼 수 있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守國寺 腹藏遺物
  2.1 守國寺의 역사와 腹藏遺物
  2.2 腹藏遺物의 개관
 3. 『密敎大藏』관련 기록
  3.1 고려시대 13-14세기의 밀교
  3.2 史料上의 密敎大藏 기록
 4. 『密敎大藏』권9의 書誌
  4.1 형태와 체제
  4.2 수록 범위 및 기술
 5. 수록 내용의 분석
  5.1 持心梵天所問經 4卷
  5.2 思益梵天所問經 4卷
  5.3 勝思惟梵天所問經 卷第6
  5.4 [入]楞伽經 卷第8
  5.5 大乘入楞伽經 卷第6
  5.6 大雲輪請雨經 卷上
  5.7 大雲經請雨品 第64
 6. 大藏目錄 下卷 溪函-洞函에 수록된 陁羅尼經
 7.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권희 Nam, Kwon-H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