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in Early Childhood

구미향, 황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n child rights in early childhood. And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shifting views in teachers toward child righ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child rights education program. Using Q-methodology, 40 statements representing the child's fundamental rights enshrined i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selected as Q-sampl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PC QUANL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ubjectivity on child rights before the child rights education program is implemented was formed in a single type. However, teac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was divided into two types after implementing the child rights education program: Type 1 was named as "non-discriminatory life protection-oriented type", Type 2 was named as "respect of the views and development through the caring-oriented type". Third, 6 teachers' subjective recognition about child rights were changed after receiving child rights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대표하는 총 4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Q 표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시행 전과 후에 동일한 Q 소팅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 유형은 단일 유형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들은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한 권리로 인식한 반면 발달권과 참여권에 대해서는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공통된 의견을 갖고 있었다.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유아교사의 인권 의식은 ‘비차별적 생명존중과 폭력으로부터의 보호’와 ‘권리주체자로서 능동적인 참여와 성장’ 이라는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후 유아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하게 생각하던 9명의 교사는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인권의식이 오히려 공고해 졌으며, 6명의 교사는 유아의 참여권과 발달권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의식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인권
  2. 인권교육
  3.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Ⅲ. 연구설계
  1. 연구대상(P표본)
  2. 연구도구(Q표본)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 참여 전 유아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2.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유아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3.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유아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구미향 Mee Hyang Koo. 서일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황소영 Soyoung Hwang. 성균관대학교 아동학전공 박사학위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