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세종시대 노인공경의 실제와 의의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ality and Meaning of Respecting for the Aged in the Era of King Sejong

조남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mid-15th century, the political mind of King Sejong was influenced by the ancient Confucian culture. And King Sejong believed that the respecting for the aged was a noble cause. Therefore, he was taking the lead to love human life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enhance the aged's position. In the government of King Sejong, the action of respecting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Granting honorary office to all the people over the age of 80. Having a party in honor of the aged as a yearly event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mphasizing that everybody should respect older people in the point of transcending social position. Accepting desire of for longevity by way of exemption from national obligation. Making clear that all the people are equal before the old age. These attitudes contributed to realize society of respecting for people’s life and dignity in that time. I think that the mind of respecting the aged in the King Sejong's governance make old men and women happy, an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improve the morality in modern society.

한국어

우리사회가 고령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경제발전에 역행하듯 노인들은 불안 과 소외감 속에 자살까지 감행하여 노인자살률 최고국가의 오명을 낳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사회에서는 물질에 앞서 인간을 중시하는 유교문화의 흐름 속에 정치 지도층에서부터 노 인공경의 태도를 중시하여 인생의 안정적 기조를 강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세종시 대를 통하여 뚜렷이 규명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주로 󰡔세종실록󰡕을 근거로 당대 노인공경 부분과 관련된 사안들을 면밀히 고찰하면서 그에 내재한 여러 가지 의의를 파악하여, 오늘날의 노인공경 정신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1418년 태종이 단행한 세자교체를 계기로 22세의 나이에 갑자기 군주가 된 세종에 있어서 창의 적 정책을 보이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했다. 즉 기로의식이나 기영회수용 및 궤장하사 등과 같 은 고령 대신을 향한 경로행위는 세종초기에도 이어지는 것이었으나, 남녀의 고령자에 대한 관 작 수여나 거국적 양로연 거행의 일은 그 중기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나타났던 것이다. 그와 같 은 주요 경로의례에 관한 발의는 유신들에게서 시작되었지만 그 이후의 정립 단계에 이르기까 지는 세종의 지혜가 지속적으로 작용하였다. 세종시대 노인공경의 특징적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고령 대신들에 대한 세종의 공경의식에는 경험중시의 실용주의적 태도가 병행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정계에서 70세 치사 를 정당화시키는 데에는 임금이 지켜야 할 ‘노인공경의 뜻’이 어필되기도 했지만, 세종은 이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학덕과 능력을 겸비한 대신들에 대해서는 그간의 경험을 살려 국가발전에 기여해야만 할 것임을 강조했다. 둘째는 백성을 향한 노인공경 정책에는 인간존중의 평등정신 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서민을 거쳐 천민에까지 이르는 고령자 관작 수 여 조치나 양로연 거행 논의과정에서 확인된다. 특히 관료들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기 준’ ‘천민도 하늘의 백성’이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인간평등의 가치관을 추구하던 세종의 모습이 주목된다. 셋째는 그 노인공경에는 사람들로 하여금 감동을 일으킬 정도의 진실성이 견지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세종이 노인공경을 ‘숭고한 것’으로 평가하는 것에서부터 여성 양로연 거행 문제를 ‘의(義)에 어긋남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 또 자리에서 일어나 노인들을 맞이하거나 배 례의식은 생략시키는 것 등은 그 인간존중에의 진실성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로 인하여 양로연 마무리에서는 ‘참으로 기쁘다.’라는 말이 나올 수 있었다. 그 기쁨은 세종 자신뿐만 아니 라 사람들 모두가 느끼게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지대한 것이다. 그러한 기쁨은 80세 이상의 모든 고령자에 대한 관작 수여의 방식으로도 계속 누리게 했다. 이상의 내용 중에서 가장 큰 인상을 주는 것은, 임금이 주관하는 거국적 규모의 경로잔치, 즉 차별 없는 양로연의 정규적 거행 장면이다. 노인에 대한 안팎의 대우가 미진한 오늘날, 세종시 대와 같이 최고 지도자가 진지하고 겸손하게 매년 거국적 경로잔치를 주관해 간다면, 노인들에 게는 감사와 기쁨을 느끼게 할 것이요, 국민들에게는 삶과 생명의 존엄성을 일깨우는 계기로 작용하여 생활현장의 안정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노인공경의 유교문화
 Ⅲ. 세종시대 노인공경의 실제
  1. 기로소 운영과 기영회 형성
  2. 궤장 하사와 관작 수여
  3. 신분 초월의 양로연 거행
 Ⅳ. 노인공경 활동의 의의
  1. 경험중시와 공존화응의 가치 추구
  2. 장수욕망 수렴과 인간존중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남욱 Cho, Nam-Uk.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