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해동화엄 해인삼매의 원융일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ound Same Taste of Eastern Avatamska's Sea Seal Samadhi

김용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und same taste of Eastern Avatamska's Sea Seal Samadhi. The idealism of Eastern Avatamska in the Silla Euisang's Dharma world diagram introduces the relationship between Dharma nature and True nature. One thing in the world can not be separated with the other in the whole Dharma world. We can infer that our body and mind that has been possessed by Dharma nature. Through Public-common mediation between Dharma nature and True nature, we can make the conviviality both our selves' happiness and others' happiness together.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effort to understand the system of Bansi as contents or the gradation of Avatamska-Gwanhaeng instead of looking at it from logical and religious scientific aspect is the originality of Euisang extraction. It has exposed the more concertized aspect as it descends from the times of Euisang to the next generation. Specially in Gyunyeo of the Korea period, we can find it was oriented to the five folded sea seal samadhi as the interpretation of Silla Euisang's Dharma world diagram. Seoljam in Chosen period had pointed the diagram as Dharma nature of this body and mind itself as the subject of conviviality. At the end, the universal Bodhisattva's mercy practices can be accomplished the round same taste by exposing itself to the people through time and space in the Dharma world diagram. The particular Avatamska practices through awakening the mind based on Dharma nature can be possible to reveal the wisdom into the people's body and mind. However the above Bodhisattva practices through Avatamska's Sea seal Samadhi would make more freedom without hindrance to this world. Therefore at any moment of our everyday life, we can make the conviviality both our selves' happiness and others' happiness together through being conscious of Eastern Avatamska's Sea Seal Samadhi.

한국어

이 글은 해동화엄 해인삼매의 원융일미(圓融一味)에 나타난 공공행복을 밝힌 글이다. 해동화엄 은 여래성기(如來性起)의 법성(法性)과 인연소기(因緣所起)의 진성(眞性)의 만남에 의한 원융 일미를 제시한다. 의상화엄은 연기(緣起)에서 여래성기(如來性起)의 해인삼매를 통한 원융일 미를 제시한다. 여래성기(如來性起)는 자리이타(自利利他)의 공공세계를 만들어, ‘생사열반상 공화(生死涅槃常共和)’를 이룬다. 이는 해동화엄의 근원, 부석종 의상의 『법성게(法性偈)』에서 드러난다. 고려의 균여(均如)는 신라 의상(義湘)의 법성게가 오중해인의 원융일미임을 찬탄 하였다. 균여는 사섭․사무량심(四攝․四無量心)이 오중만다라 전개에서 오중해인의 원융일미(圓 融一味)로서 공공행복을 밝혔다. 오중해인 가운데 중도 화엄관행, ‘정관해인’(定觀海印)을 표상 하는 54각(五四角)이 여래성품으로 발현되는 원융일미를 말한다. 의상의 해동화엄은 조선의 설잠(雪岑)에게 계승된다. 설잠은 의상의 법성게 삼십구 본의를 법 성(法性)으로 파악하였다. 법성이 ‘원융친증’(圓融親證)하여 사사무애(事事無碍)가 됨이다. 사 사무애는 해인삼매 삼매일미로서 공공행복의 요체이다. 여래성기(如來性起)는 법성으로 비법 성(非法性)을 아우르는 가운데 세속과 진여를 매개하고 살리는 ‘행복공창’(幸福共創)의 요인으 로 작용한다. 이는 곧 진여성기(眞如性起)의 공(公)과 분별연기(分別緣起)의 사(私)가 이어지고 매개하며 살리는 가운데 법성여시(法性如是)의 삼매일미로서의 공공행복을 제시한 것이다. 결국 의상은 해동화엄의 초조로서 화엄교학 연구를 발흥시켰고, 고려의 균여와 조선의 설잠에 의해 보다 심화되어 선교회통(禪敎會通)을 통한 삼매일미, 공공행복으로 이어져 해동화엄을 이 루었다. 의상의 법계관은 선(禪)을 수용하면서 화엄사상과 선수행 사이의 ‘불이’(不二)의 공공 일미(公共一味)를 이루었다. 역사적으로 최치원의 『사산비(四山碑)』를 포함하여 초기 선사에 나타난 부석사와 구산선문의 관계는 해인삼매의 원융일미, 공공행복 구현과 상관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성기구현(性起具現)의 일미관행
  1. 의상의 삼승과 일승의 회통
  2. 수십전법(數十錢法)의 원융일미
 Ⅲ. 오중해인(五重海印)의 일미관행
  1. 균여의 오중해인
  2. 오중해인의 원융일미
 Ⅳ. 선엄일치(禪嚴一致)의 일미관행
  1. 설잠의 선엄일치
  2. 선엄일치(禪嚴一致)의 원융일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환 Kim, Yong Hwan. 충북대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