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아동에게 ‘6학년이 된다는 것’의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of Becoming a Six Grader in Elementary School

김초록, 강충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ecoming a six-grader in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students' understanding. For the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formulated: First, How do children experience to become a six grader? Second, How students' sympathy in the meaning of becoming a six grader? In order to resolve the study questions, the data was collected by targeting students who are in fifth or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wo times. At first,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the open coding analysis method of the systematic design. The conception was then located and categorized. And secondl Likert scale questionnaire based on the first analysis was put to about 1,000 students. The crosstab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execu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al software to examine the sympathy average and the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location for each category. The analyzed study results according to such study design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arted a meaning to be a six grader as status change, behavior change, middle school entrance, growth and maturity. And, student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There were rising the status, capability improvement, good things of growth and maturity, expectations of new grade. On the other hands, students experienced negative changes. There were burdens about status change, reinforcement of regulation,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problem, growth and maturity. Second, sympathy mar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grade, gender, and region). Among their status chan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de (5Grade M = 3.38, 6G M = 3.48) and location(city M = 3.39, suburb M = 3.47). Behavior change had a difference in grade(5G M = 3.02, 6G M = 3.16), middle school entrance had a difference in sex(male = 4.28, female = 4.37) and grade (5G M = 4.23, 6G M = 4.43) and location(city M = 4.30, suburb M = 4.36), growth and matur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5G M = 3.17, 6G M = 3.42). And among the students' positive changes, rising the status had a difference in sex(male = 3.17, female = 3.00) and grade (5G M = 3.16, 6G M = 3.00), capability improvement had a difference in grade (5G M = 3.32, 6G M = 3.27) and location(city M = 3.30, suburb M = 3.28), good things of growth and maturity had a difference in Sex(male = 3.03, female = 3.07) and grade (5G M = 2.99, 6G M = 3.12). Lastly, among the students' negative changes, burden about status change had a difference in sex(male = 3.11, female = 2.99), reinforcement of regulation had a difference in sex(male = 3.17, female = 3.12) and grade (5G M = 3.32, 6G M = 2.96) and location(city M = 3.29, suburb M = 2.96), academic stress and burden had a difference in Sex(male = 3.47, female = 3.52). And burden about growth and matur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male = 2.82, female = 2.77) and grade (5G M = 2.83, 6G M = 2.76). The conclusion drawn by this study`s result is as follow: The meaning of becoming a six grader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change". Concretely students` positive meaning is "improvement" and negative meaning is "burden". As shown through study,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need educations about status, accurate role cognition, responsibility. And they also need adolescence educations with home room teacher who has a great ripple effect, understanding middle school living. So, teacher and parents must offer proper education, continued interest and minute observ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6학년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학생들의 입장에 서 파악해 보는데 있으며 첫째, 초등학교 아동은 ‘6학년이 된다는 것’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아동은 배경 변인에 따라서 ‘6학년이 된다는 것’에 어느 정도 공감하는가? 라 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6학년이 된다는 것에 대한 생각을 총 두 차례에 걸쳐 수집하였다. 1차 자료 수집은 530여명의 학생들에게 개 방형 설문지를 투입하고 나온 결과를 범주화하여 분석 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2차 자료수집 에서는 6학년이 된다는 것의 의미와 관련된 Likert 척도 질문지를 제작해 학생들 천여 명을 대상으로 답하도록 하여 IBM SPSS Statistic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에 대한 공감 정 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아동들은 ‘6학년이 된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실감하는데 크게 지위, 행동, 학교 급, 성장 및 성숙에서의 변화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6학년의 긍정적인 변화는 지위 상승, 능력 향상, 성장 및 성숙, 학년 변화였으며, 6학년의 부정적인 변화는 지위 변화에 따른 부담, 규제 강화, 학업 부담, 대인관 계 문제, 성장 및 성숙에 대한 부담이었다. 둘째, 아동의 배경 변인(학년별, 성별, 지역별)에 따른 공감도를 분석하였더니 배경 변인에 따라 각 영역에서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6학년이 된다는 것’에 대해 전반적으로 ‘변화’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 고, 구체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는 ‘향상’으로, 부정적인 의미는 ‘부담’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결 론 내렸다. 학생들의 생각과 경험을 알고 교육에 임할 때 의미 있는 의도를 계획할 수 있다. 교육 활동과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학생들에 대해 알고 그들의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연 구 결과로 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는 지위와 그에 따른 올바른 역할 인식에 대한 교육, 지위에 따른 책임에 대한 교육, 가장 파급력이 큰 담임에 의한 지속적인 사춘기 관련 교육, 중학교의 생활을 이해하는 교육이 필요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 설계
  1. 혼합방법론
  2. 연구대상
  3. 연구 방법 및 절차
 III. ‘6학년이 된다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
  1. 6학년이 된다는 것
  2. 6학년이 된다는 것에 대해 학생들이 경험하는 긍정적인 변화
  3. 6학년이 된다는 것에 대해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변화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 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 김초록 Kim, cho rok. 전주금암초등학교 교사
  • 강충열 Kang, Choongyoul.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