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5회 진각논문대상 논문

唯識學派의 佛敎解釋學

원문정보

Buddhist hermeneutics in Yogācāra writings

유식학파의 불교해석학

황서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uddhist hermeneutics has been developed from ‘open text’and upāya tradition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t is the result of the efforts in search of hermeneutical validity through infinite extension of Buddhavacanaṁ’s category and the effort to interpret Buddha’s real intention from superficial canonical language. A special characteristic of Buddhist hermeneutics is that the interpretation of Buddha’s real intention is alway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practice to enlightenment. Buddhist hermeneutics is based on the canonical linguistic attitude of Prajñā-Mādhyamika school and culminates in Yogācāra system. Most of Buddhist hermeneutics principles are arranged and embodied in Yogācāra writings. In the beginning Yogācārins protected themselves passively from the attack that Mahāyāna is not the original message of historical Buddha. But later they advocated more positively that the extension of Buddhavacanaṁ’s category is legitimate. Moreover, they stood by their orthodoxy and authenticity by explaining the three turnings of the wheel of the Dharma in Saṃdhinirmoccana Sūtra, and establishing ‘the principle to interpret Mahāyāna(釋大乘道理)’based on their own view of dharma-lakśaṇa. They also developed the hermeneutics of upāya and artha, which are forms of linguistic canonical philosophy. The ‘Four criteria of interpretation(正四依, 四量)’, ‘four types of intention(四意趣)’, and the ‘four types of hidden intention(四秘密)’are typical of hermeneutical methods in Yogācāra writings. Among these, Buddhist hermeneutics in regards to understand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practice to enlightenment, is represented by ‘a wisdom arisen from meditation(修所成智)’and ‘therapeutic hidden intention(對治秘密)’. Historically speaking, Buddhist hermeneutics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paradoxical circulation between unity and variety in the interpretation of Buddhavacanaṁ. Surely Buddhist hermeneutics started in order to prevent confused interpretation with the goal of finding a unifying principle in Buddha’s teachings. However, the comprehensive nature of unifying principle allowed for a variety of interpretation instead, that deduced a result with a different direction. Variety in Buddhism is due to a variety of interpretation.

한국어

불교해석학은 불교 고유의 ‘열린 텍스트’ 전통과 ‘방편설’ 전통으로부터 발전해 왔다. 다시 말해 역사 적으로 불설 범주의 무한한 확장 과정 속에서 해석학적 당위성을 추구하려는 노력과 함께 궁극적 진 리인 설법자의 진의를 표면적인 경전언어로부터 해석해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낸 결실인 셈이다. 또 한 진의의 해석은 문헌학적 해석과는 달리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으로서의 이해적 행동’이라는 확고 부동한 목표를 내포한 종교해석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불교해석학은 반야중관의 경전언어관을 바탕으로 유식학파에 이르러 꽃을 피우게 된다. 유식학파의 전적은 그 보고로서, 불교해석학의 구체적 원칙들은 거의 대부분 유식학파의 논서에서 정리되고 구체 화되었다. 유식학파는 초기에 八因을 통하여 대승비불설에 대한 소극적인 자기 방어에서 출발하였지 만, 후일 적극적인 불설확대를 주장하게 된다. 나아가 그들은 삼시교판이라는 해석학적 정통성과 정법성까지 내세우며 특유의 法相觀에 입각한 釋 大乘道理를 확립하기에 이른다. 즉 연기설, 相의 설명, 교설의 의미 설명이 그것이다. 또한 대승불교 의 경전언어철학인 방편과 진의의 해석학을 여러 방법론으로 발전시키게 되는데, 四量・四意趣・四秘 密은 대표적인 해석학적 장치들이라고 볼 수 있다. 사량은 能詮・義意・ 義・無言을, 사의취는 平等意趣, 別時意趣, 別義意趣, 補特伽羅意樂意趣를, 사비밀 은 令入秘密, 相秘密, 對治秘密, 轉變秘密을 말한다. 이 가운데 특히 修所成智와 對治秘密은 ‘수행의 이해적 행동’으로서, 불교해석학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불교해석학은 역사적으로 ‘통일성과 다양성의 역설적인 순환관계’를 이루면서 발전해 왔다 . 불교해석학은 분명 해석학적 통일 원리이므로 무질서하고 다양한 해석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차원으 로 출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 원리의 포괄적 성격은 도리어 해석의 다양화를 용인하여 본 래의 취지와는 방향이 다른 결과를 도출해 버리고 말았다. 불교의 역사적, 지역적 다양화는 이러한 해 석학적 다양성에 크게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불교해석학 槪觀
  1. 불교해석학 연구의 前提와 略史
  2. 불교해석학의 개념과 범주
  3. 유식학파 불교해석학의 位相
 Ⅲ. 經典의 正統性과 正法性
  1. 大法敎와 佛說八因
  2. 三時敎判과 釋大乘道理
 Ⅳ. 方便과 眞意의 해석학
  1. 대승불교의 경전언어철학
  2. 四依와 四量
  3. 四意趣와 四秘密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서광 Hwang, Seo Kwang.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2,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