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4회 진각논문대상 논문

불상과 밀교 수행법의 형성

원문정보

Establishment of Buddha Statue and Practices of Esoteric Buddhism

조금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ronological types of the Buddha statue built in Gandhara in the initial stage of establishment of statues of Buddha show that they had significance in delivering the truth and securing the justice of the greatness or teachings of Buddha unlike general religious symbols. The Pratyutpañña-sūtra says that statues of Buddha are built to help achieve samādhi, that is enlightenment. Thus, clear objectives of creating Buddhist images are presented. They could achieve samādhi effectively contemplating the images of Buddha who achieved enlightenment as the goal of practices. As the Koanbulsammaehae-sūtra introduced the order and method of contemplating Buddhist statues in detail, the objectives of achieving the samādhi of the Pratyutpañña-sūtra were more concretely established as practice methods of contemplation over time. Buddhist images were built to meet the desire for Buddhist populariz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initial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which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Mahayana Buddhism,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ractices of three secrets, a formal practice of esoteric Buddhism, being formed with contemplation methods, dharanis recitation and mudra methods as various practices related to Buddhist images. The creation of Buddhist images is distinguished from the religious interpretation of worship and services of general religions in that the basic purpose of attaining enlightenment through Buddhist practices was maintained. The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show the original purpose of Buddhist statue creation presenting Buddhist practices related to Buddhist statues, including the practices of three secrets. In particular, it was concluded that the initial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evolved into the intermediate-term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when they were established as the practices of three secrets via the process of the practices of three secrets, including recitation, mudra and contemplation methods.

한국어

불상이 조성되는 최초기에 해당하는 간다라 지역에서 불상의 조 성 형태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일반적인 종교의 상징과는 달리 석존 의 위대성이나 가르침에 대한 사실 전달과 정당성 확보에 의미가 있 었다. 『반주삼매경』에는 삼매를 속히 얻기 위하여 불의 형상을 짓는다. 삼매를 이루는 것에 쓰이기 때문이라고 하여, 불상 조성의 명확한 목 표를 제시한다. 수행의 목표로서 깨달음을 성취한 석존의 형상을 관 상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삼매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후 『관불삼매해 경』에는 불상에 대한 관법의 순서와 내용을 자세하게 적고 있다는 점 에서, 『반주삼매경』의 삼매를 얻기 위한 용도가 시대가 지나면서 더 욱 구체적인 관법 수행으로 정리된 것이다. 불상의 출현은 대승불교의 성립 이후 불교 대중화에 대한 열망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대승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던 초기 밀교경전들 에는 불상과 관련한 다양한 수행법으로 관법과 다라니의 독송, 인계 법 등이 함께 설해지면서 밀교의 정형화된 수행법인 삼밀수행을 형성 해 가는 과정에 대해 설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불상의 조성이 불교의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추구라는 근본 목적 을 버리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종교의 예배공양의 신앙적인 해 석과는 구분된다. 밀교경전들은 삼밀 수행법을 포함한 불상과 관련한 불교 수행법을 정리함으로써 불상조성의 본래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초기 밀교경전을 통해 불상과 다라니 독송법, 인계법, 관법 등 삼밀수행의 성립과정을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중기 밀교경전에서 삼 밀 수행법으로 정리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또한 밀교경전의 자륜관에 나타나는 진언종자는 불상을 상징적으 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진언본존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고, 종자가 자 륜관에 활용되는 관법의 대상이 되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 요약
 머리말
 Ⅰ. 종교상징에 대한 불교의 근본입장
  1. 출가자와 종교상징의 문제
  2. 재가자의 불탑신앙과 불교 대중화
 Ⅱ. 대승불교와 불상 출현의 의미
  1. 불상출현의 시대적 배경
  2. 불상조성과 불교수행의 관계
 Ⅲ. 불상조성의 목적과 관법수행
  1. 『반주삼매경』의 불상조성 목적
  2. 『관불삼매해경』의 관법 수행
  3. 밀교경전의 관법수행
 Ⅳ. 불상과 밀교 수행법의 형성과정
  1. 불상과 공양법의 수용
  2. 불상과 다라니수행의 결합
  3. 불상과 삼밀수행의 형성
  4. 자륜관과 진언본존의 가능성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금자 Geum-ja, Cho. 위덕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