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4회 진각논문대상 논문

재가자의 아라한 성취와 재가생활 유지 가능성에 대한 고찰 - 빨리 문헌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lay-arahat accomplishment and lay-life sustainability in Pāli-Nikāya

서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Pāli Nikāya, the highest Noble Ones(ariyapuggala) is arahat. Arahat is the only one who is no longer subject to transmigration(saṁsāra) because he eliminates all defilements: greed・aversion・delusion(rāga・dosa・moha), ten fetters and so on. Pāli Nikāya emphasizes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status; monk(samaṇa) or layman to arahat. Nevertheless, the examples of lay-arahat are hardly found in Pāli Nikāya. So accomplishment of lay-arahat represents a positive stance. The examples of lay-arahat are rarely mentioned in Pāli Nikāya, these are handled not four-Nikāya but mainly the monastic discipline (Vinaya-Piṭaka), the small sutta(Khuddaka-Nikāya), Buddhist philosophy and psychology(Abhidhamma- Piṭaka) and the comentary (Aṭṭhakathā). Even if those are the examples of layarahat, some people do not have clear evidences that they are lay-arahats and the sutta also expressed differently at this time of arahat accomplishment. Researchers mainly has put up by common evidences ‘to doctrinal features of Pāli Nikāya that is written on the monk(samaṇa)’, because the data of lay-arahat are insufficient and unclear. Researchers consider layman to be excluded in Pāli Nikāya by these characteristics. Even if layman became the lay-arahat, there are no examples of lay-arahat keeping a lay-life in the whole of Pāli Nikāya. However, after a layman attained arahantship, he should enter the Order or die before the end of that day. Such information appears as the center of the small sutta(Khuddaka-Nikāya) All of this perspectiv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eatures of layman and Arahat. It is suitable for Arahat having escaped from all defilement(āsava) and fetter(sa yojana) to enter the Order and that is the characteristic to arhat. Nirvana with remainer(saupādisesa) and nirvana without remainer(anupādisesa) are in the arahat, nirvana without remainer is specially not left with any defilement and aggregates(khandhā). Also, I think that arahat in the nirvana without remainer is connected ‘leads to complete nirvana(parinibbāna) as an element of the nirvana without remainer.’ Therefore in Pāli-Nikāya it is commonly negative for the lay-arahat to sustain the lay-life.

한국어

빨리 문헌에서 말하는 최고 성인은 아라한이다. 전형적인 성인의 형태인 사성인 가운데, 아라한은 유일하게 탐진치와 열 가지 족쇄 등 모든 번뇌에서 벗어나 더 이상 윤회하지 않는 사람이다. 아라한의 성 취에 있어서는 신분의 고하를 불문하고 출가자이든 재가자이든 어떠 한 차별도 없음을 빨리 문헌은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가자의 아 라한 성취는 긍정적인 입장을 띠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가 아라한의 실례는 빨리 문헌에서 거의 찾 아볼 수가 없다. 드물게 재가 아라한의 실례가 빨리 문헌에서 언급되 고 있지만, 이들의 대부분은 四部 니까야가 아닌 율장, 소부, 논장 그 리고 주석서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재가 아라한의 실례 가 언급되고 있다할지라도, 어떤 사람은 재가 아라한이라는 전거가 명확하지 않으며, 그들의 아라한의 성취시점 또한 경전에서 각기 다 르게 표현되고 있다. 재가 아라한의 자료가 이와 같이 충분하지도 명확하지도 않다는 점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빨리 문헌이 주로 출가자 중심으로 쓰여졌 다는 교리적 특징’을 공통적인 전거로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 로 인해 재가자에 대한 언급이 제외되었을 수도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재가 아라한이 되었다 하더라도 빨리 문헌 전체에서 재가생활을 유지한 아라한의 실례는 더더욱 없다. 한편 재가자가 아 라한이 된 후에는 ‘출가하거나 혹은 완전한 열반을 한다는’ 두 가지 내용이 주로 小部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모두 재 가자와 아라한의 특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모든 번뇌와 족쇄로부 터 벗어난 아라한이 출가하는 것은 마땅하며, 그것은 아라한의 특징 에 어울린다. 그리고 아라한에 해당하는 유여열반과 무여열반 가운데 특히 어떠한 번뇌와 蘊[오온]도 남아있지 않은 무여열반의 상태에 이 른 아라한은 ‘무여열반의 요소에 의해 완전한 열반에 이르게 되는 내 용’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빨리 문헌에서 재가 아라한의 재 가생활 유지가능성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띤다고 할수 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아라한의 개념과 성취조건
 Ⅲ. 재가 아라한
  1. 재가 아라한의 사례
  2. 재가자가 아라한이 된 후의 상태
 Ⅳ. 재가 아라한의 재가생활 유지가능성 여부에 대한 고찰
 Ⅴ. 마치는 말
 약호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현희 Hyun-hee, Seo.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