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4회 진각논문대상 논문

회당의 무상불(無相佛)에 관한 연구 - 무상불의 교학적 의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Ālakṣaṇa-Buddha(無相佛) on HoeDang doctrine

혜담정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 Jingak Buddhist Order was established by HoeDang(1902-1963) in 1947. After getting Great-Enlightenment, he systemized the method of attaining the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esoteric buddhism. So we call the doctrine of Korea Jingak Buddhist Order as Jingak-esoteric-buddhism or HoeDang doctrine. Being based on Hoedang’s self-repentance-practicing-method(懺悔修行法) or Ālakṣaṇa- Study(無相工夫), the doctrine of Jingak-esoteric-buddhism is different from the doctrine of traditional-esoteric-buddhism. The Study of Ālakṣaṇa-Buddha(無相佛) on HoeDang doctrine is focus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Ālakṣaṇa-Buddha(無相佛) and Jingak-Esotericbuddhism( 眞覺密敎). Firstly, I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Ālakṣaṇa(無相) thru the Vajra-Sutra(金剛經). According to the Sutra, the meaning of Ālakṣaṇa is the absence of Four-lakṣaṇa(四相) i.e. ātman(我相)·sattva(人相)·jiva(衆生相)·pudgala(壽者相) and the arising of Purified-Mind(淸淨心) or the-Mind-of-Avalokiteśvara(本心). Secondly, I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Ālakṣaṇa(無相) and Jingak(眞覺). At the result of the study, I found that Venerable-Jingak(眞覺님) of dharma-kāya(法 身) and Practicing-Jingak(眞覺行) of attaining-Buddhahood(成佛) had the meaning of Ālakṣaṇa-Buddha(無相佛) and Ālakṣaṇa-Practice(無相實踐) respectively. At the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Dharma-kāya-vairocana-Buddha(法身 毘盧遮那佛), Svabhāva-kāya-Buddha(自性法身), Self-repentance-Study(自性懺悔), Six-syllables-samādhi-Practice(六字觀行) were related to Ālakṣaṇa-Dharma(無相眞 理), Ālakṣaṇa-Buddha, Ālakṣaṇa-Study, Ālakṣaṇa-Practice respectively. I concluded that the study of Ālakṣaṇa-Buddha(無相佛) gave the easy way of understanding the Jingak-esoteric-buddhism by reviewing the Jingak-esoteric-buddhism not as the way of traditional esoteric-buddhism but as the way of HoeDang doctrine

한국어

대한불교 진각종의 종조 悔堂(1902-1963)은 자증교리에 의거하 여 교의를 세우고 이를 밀교 교리적으로 해석하여 진각종 교학으로서 정립하였다. 진각종 교학은 밀교교리로서 체계화된 교리이기에 이를 진각밀교라고 지칭할 수 있다. 진각밀교는 참회교리의 無相개념을 잇 고 있는 진각교리를 밀교적으로 해석하여 체계화한 교리로서 이는 전 래밀교의 교리와는 달리 회당의 자증교리가 중심이 된 밀교교리이다. 본 연구는 무상을 불격화한 無相佛과 진각밀교의 불신관·수행관 과의 관계성을 살펴봄으로서 진각밀교에 있어서의 무상불 의의를 고 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무상에 대한 의미를 『금강경』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무상은 四相 즉 아상·인상·수자상·중생 상이 멸한 淸淨心이 發하는 마음 곧 本心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 고 무상개념을 잇고 있는 진각에 대하여 이를 불신관에 해당하는 진 각님과 수행관에 해당하는 진각행으로 나누어 무상과의 연계성을 살 펴보았다. 그 결과 眞覺님과 眞覺行은 각각 無相佛과 無相實踐의 의 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진각밀교의 교주인 법신 비로자나불·수행 대 상인 자성법신·수행 계행으로 삼을 수 있는 자성참회·수행 실천법 인 육자관행 삼밀의 교리는 각각 그 의미가 무상진리·무상불·무상 공부·무상실천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하여 眞覺 密敎의 敎理를 전래밀교적인 시각에서 해석하지 않고 회당의 자증교리로서 표현한 무상불과 연계하여 해석해 봄으로서 진각밀교의 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無相佛의 의미
  1. 無相의 의미
  2. 無相佛의 意味
 Ⅲ. 眞覺과 無相佛과의 관계성
  1. 眞覺形成과 法身佛
  2. 眞覺님과 無相佛
  3. 眞覺行과 無相實踐
 Ⅳ. 眞覺密敎에서 無相佛 위상
  1. 法身 毘盧遮那佛과 無相眞理
  2. 自性法身과 無相佛
  3. 自性懺悔와 無相工夫
  4. 六字觀行 三密과 無相實踐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혜담정사 Ven. Hye-dam. 교법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