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 Focusing upon the Korean and the Chinese

유매, 강영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comprehensively three parts. First, the effects of goal orientation(learning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proved to proactiv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OCB-I, innovative behavior. Second,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behavior was investigated in the links between goal orientation(learning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job performance. The total data 376, which collected from Korean 192 and Chinese 184, was applied to analysis The results are 1) both of learning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active behavior in both sample, whereas no significant effect to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2)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results in the links goal orientation and OCB-I in case of Korean sample, whereas in chinese case, mediation was supported in the links learning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OCB-I each. In further, mediation of proactive behavior was supported as partial mediator in the links learning goal, prove goal and innovative behavior in both cases except for prove goal-innovative relationship was proved full mediation. Findings were that the mechanism of behavior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was demonstrated, such the result contribute to the study on behavior mechanism of personal disposition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resent results provide practitioners with different management style to the Korean and the Chinese so as to come to job performance.

한국어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목표지향성(학습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수행회피목표지향성)과 주도적 행동 및 직무수행(OCB-I, 혁신행동)의 선형관계를 규명하였다. 둘째,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및 OCB-I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한국인과 중국인 표본을 대상으로 직접효과 및 매개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표본은 제주지역 기업종사자 및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인 192명, 중국인 184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한국인과 중국인 모두에서 주도적 행동을 촉진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은 두 연구대상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에서 한국인의 경우, 목표지향성과 OCB-I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중국인의 경우 목표지향성(학습, 수행접근)과 OCB-I의 관계가 주도적 행동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목표지향성(학습, 수행접근)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은 양국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한국인은 부분매개효과가, 중국인은 학습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은 부분매개, 수행접근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은 완전매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의 관계에 작용하는 행동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개인성향과 직무수행 관계에 작용하는 다양한 행동매커니즘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에 작용하는 행동메커니즘의 차별성을 규명함으로써, 양국 종사자의 직무수행 촉진하기 위한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의 관계
  2. 목표지향성과 주도적 행동의 관계
  3.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자료수집 및 연구표본
  3. 변수측정 및 조작적 정의
 Ⅳ. 실증분석
  1.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2. 변수 간 상관관계
  3. 연구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매 Liu Mei. (주) Mega Property
  • 강영순 Kang, Young Soon. 제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