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논문

SNS 관광정보가 관광지 선호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SNS Tourism Information towards the Tourist Destination Preference and Visit Intention

전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urist Information needs to choose the tourist destin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satisfaction. Recently SNS(Social Network Service) has become a major source oftourism information, because it is easily accessible to a variety of information. Also theexperienced users of SNS themselves create, provide and share the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NS tourism informationtowards the tourist destination preference and visit intention,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bot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methodswere conducted. And 3 assumptions are established. The first assumption is that SNStourism information affects tourist destination preference. The second is that SNS tourisminformation affects the visit intention. Lastly, tourist destination preference affect visitintention. In order to analyze these established assumptions, a questionnaire were carriedout targeting subjects who have experience of using SNS tourism information in the past. 240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SPSS 20.0 program was uese for the analy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all established assumptions are partlyadopted. In terms of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the study suggests that people regard SNStourism information as the tool for marketing activities to enhance tourist destinationpreference and visit intention.

한국어

관광정보는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관광지에 대한 관광자만족을 보다 높이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중 SNS는 중요한 관광정보의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사이버 상에서 서 로 관계를 맺고 다양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의사소통 및 막강한 정보 확산 이라는 점 에서 기존의 관광정보 방식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NS관광정보특성이 잠재관광객들의 관광지 선호도와 행동의도에미치는 영향관계를 분 석하여 효과적인 도구로서 SNS 관광정보가 적극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 관광정보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관광지선호도와 행동의도 간에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선행연구 를 바탕으로 다음의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SNS 관광정보는 관광지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미 칠 것이다, 가설 2. SNS 관광정보는 행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관광지선호도는 행동의 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분석하기 위해SNS 관광정보를 이용한 적이 있는 이용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40부의 유효표본을 얻었고 설문분석을 위해 SPSS 20.0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가설 모두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첫째, SNS관광정보와 관광지 선호도 간 영향관계에서, 상대적 영향력은 정보의 동의성이 가장 크고, 다음 으로 생생함, 유용성, 신뢰성, 확산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관광정보와 행도의도 간 영향관계에서, 상대적 영향력은 정보의 신뢰성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생생함, 확산성, 정보의 동의성, 유용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셋째, 관광지 선호도와 행도의도 간 영향관계 에서, 관광지 선호도에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록 긍정적 행동의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SNS 관광정보
  2. 관광지 선호도
  3. 행동의도
  4. SNS 관광정보,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선행연구
 III. 연구 설계
  1.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2. 설문지 구성 및 분석방법
 IV. 실증 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SNS관광정보 이용 경험적 특성
  3. 타당도 및 신뢰성 검증
  4. 가설 검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인순 Jeon, In-Soon. 동남보건대학교 관광일어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