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공간 가구디자인의 적합성 비교 분석 및 기능성 평가 연구 - 일본과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공간의 가구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ppropriateness of Furniture Design in the Space of Elderly Group Homes and Evaluation on its Functionality - With the cases of furniture design in the space of elderly group homes in Japan and Korea -

최기, 문정인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if furniture design employed in elderly group homes in Korea will be changed appropriately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in them. The researchers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 of elderly group homes,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ies in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And they selected superior cases of furniture design in senior care facilities in Japan and examined the outline of design and also visited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furniture design precisely. Lastly, they comparativel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furniture design in the space of elderly group homes between Japan and Korea and verified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also suggested ways to enhance the design in it. In conclusion, the study has found the fact that the furniture being used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is mostly the products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properly. And with the case study, the researchers have found that it is urgently needed to develop customized furniture design for the elderly getting care in them.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possibly be applied to developing furniture design appropriate for elderly group homes in Korea afterwards, and regarding that, more detailed follow-up research will have to be conducted.

한국어

본 논문은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구디자인이 요양노인의 행동특성에 적합한 방향으로 개선될 경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진은 우선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정의 및 국내시설 현황,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일본의 노인요양 공간 가구디자인 우수사례를 선정, 디자인 개요를 검토하였고 국내 노인요양시설을 방 문하여 가구디자인의 현황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과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 공간 가구 의 디자인 적합성을 비교 분석하여 환경 개선 당위성을 검증하였으며, 디자인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가구는 사용자의 특성이 배제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이에 요양노인을 위한 맞춤형 가구디자인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사실을 사례 검토를 통해 확 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적합한 가구디자인 개발에 적용이 가 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정의 및 특성
  2.1.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정의 및 현황
  2.2.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 공간의 특성
  2.3. 노인 기능성가구의 개념 및 디자인 개요
 3. 노인요양공동생활 공간 가구디자인 사례 검토
  3.1. 유니버셜 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
  3.2. 일본 노인 기능성가구디자인 사례 검토
  3.3. 국내 노인시설의 가구디자인 현황 조사
 4. 노인용 가구디자인의 적합성 비교 및 제안
  4.1. 조사과정 및 평가방법의 개요
  4.2. 적합성 비교 분석 및 기능성 평가 결과
  4.3.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 공간 가구디자인 개선방향 제안
 5.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5.1. 결론
  5.2.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기 Choi Ki. 강원대학교 디자인스포츠대학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교수
  • 문정인 Moon jung-in. 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실버세대의 사례연구를 통한 유니버셜 디자인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2A Study on Space Improvement Plan of Elderly Group Homes - Based on conditions and interviews of elderly group homes in Gangneung City-네이버 원문 이동
  • 3- 서울특별시 문화관광본부(2012).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셜 디자인 가이드라인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서울: 서울특별시.
  • 4- 엄혜림, 권오정, 하해화 (2010, 가을). 노인을 배려한 거실용 가구의 유니버셜디자인 적용과 개선 방향.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1-265.
  • 5- ㈜크레아디자인 (2012). 「건강 기능성가구 디자인개발 결과보고서」. 강원도 강릉: 관동대학교 예술공학 융합형 기능성 목재가구 육성사업단.
  • 6- 허경순 (2011).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서비스 제공 실태와 만족도 분석」,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7- Nakagawa Satoshi (2002). Textbook for Universal Design. 유성자 역 (2003). 『유니버설 디자인』. 서울 : ㈜디자인로커스.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