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비스디자인 결과물의 범주와 인식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ervice Design Outcomes and Analyzing Recognition of Those Outcomes

이연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services design was introduced in Korea around 2010, it spread fast in academia and in the field. However, service design has problems that all new studies are faced with. Comprehensive concepts of service design exist but materialization of consensus concep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until now, since the focus was on spreading ‘services design’ term and concept, service design concepts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by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In service design, communication is frequently done through tangible outputs. Thu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outcome traits of service design which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design (e.g., graphic design, industrial design, etc.), and communication ways to deliver benefits and competencies of service design. This research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s of service design, and generated a framework on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outcom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s a preliminary stage. Recognition of domestic service design outcom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y using the framework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nalysis, forms of service design outcomes are categorized. This paper suggests ways to consider when communicating service design outcomes, and also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design concept.

한국어

서비스디자인은 2010년 경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후, 학계와 현장에 빠르게 확산되었지만 신생 학문으로 서 구체적 합의를 이룬 개념은 아직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까지 서비스디자인은 포괄적인 개념을 알리고 확산하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이해관계에 따라, 참여자와 연구자의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졌다. 일반적으 로 서비스디자인은 실무 결과물(유형화)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디자인(그래픽디 자인, 제품디자인 등)의 형태와 구분 또는 기여할 수 있는 특징, 혜택과 장점을 위한 소통에 관한 논의가 필요 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결과물의 특징과 범주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서비스디자인 실무 결과물이 어떻게 인식되는지 분석하고, 분석 된 자료와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프레임워크를 종합하여 서비스디자인 실무의 형태를 구분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디자인이 결과물에 대한 소통방법을 제안하며, 서비스디자인 개념 확립에 기 여하고자 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해외 서비스디자인 현황
  2.2. 서비스 특징과 디자인 역할
  2.3. 서비스디자인 결과물에 관한 범주
 3. 서비스디자인 결과물에 관한 인식조사
  3.1. 조사 방법
  3.2. 설문 분석 결과
  3.3. 서비스디자인 결과물 프레임워크를 통한 종합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연준 Younjoon Lee.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