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난설헌의 캘리그래피와 아르 데코의 기하학적 문양을 이용한 커피 잔 패턴디자인

원문정보

A Study of Coffee cup Pattern Design based on Nanseolheon's Calligraphy and Art Deco's Geometric Patterns

양순영, 임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urism-themed small local cities have explored their own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ed diverse cultural products to establish and advertise their own local identity. Now, cultural products are a useful means to promote local economy by maximizing the strength of local cultural resources. In the modern times, people tend to see cultural values from both artistic and aesthetic aspects when they buy a product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pattern design which could be used as a cup pattern in ceramic ware using the handwriting of Nanseolheon Heo Cho-hui who was born in Gangneung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in which coffee-related culture is flourished including Gangneung Coffee Festival. For images to be used as patterns, Nanseolheon's handwriting and Art Deco's geometric patterns were mixed and designed in creative patterns. Then, they were applied to tea deigns to develop them into cultural products. Prior to this study, the pattern design in which Nanseolheon's handwriting was used for textile design was studied. (Yang Soon-yeong, Im Hye-sook, 2013) In previous studies, pattern design was limited to textile desig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velop new patterns which integrated local cultural factors and modern design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pattern design to a cup. It appears that local culture-based pattern design would make Gangneung's ceramic cultural products differ from those in other regions and mak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its own image as a unique local cultural product.

한국어

관광을 테마로 하는 중소도시는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대외홍보를 위한 특화사업으로 그 지역만의 문화자원 을 발굴하여 다양한 문화상품개발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제 문화상품은 그 지역이 갖고 있는 특정한 문화 자원을 극대화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되었다. 현대인들의 상품 선호성향은 상품의 품질 뿐만 아니라 상품 속에서 문화적 가치가 담긴 미적, 예술적 측면까지도 함께 즐기며 체험하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릉커피축제를 비롯해서 커피에 관련된 문화가 활성화 된 강릉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 하여 강릉의 역사인물 난설헌 허초희의 캘리그래피를 활용하여 잔(杯) 도자상품의 문양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패턴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패턴으로 활용할 이미지는 난설헌의 친필서체 캘리그래피와 아르 데코 양식 의 기하학적 문양을 접목시켜 창의적인 패턴으로 디자인하고 이를 잔 종류에 적용하여 문화상품에 활용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앞서 연구자는 선행논문으로 난설헌의 친필서체를 텍스타일디자인에 활용하는 패턴디자인을 연구 하였다.(양순영,임혜숙2013) 선행논문에서 연구한 패턴디자인은 텍스타일디자인에 국한된 점이 있어 본 연구 에서는 초서체의 특징인 곡선과 아르 데코의 기하학적 문양을 접목하여 개발한 패턴디자인을 잔(杯)에 적용시 켜 지역의 역사 문화적 요소와 현대디자인의 기하학적 형태가 접목된 새로운 패턴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지역 문화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타 지역의 도자문화상품과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독창적인 지역문화상품으로서 강릉의 이미지 구축과 홍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패턴분석
  2.1. 난설헌의 캘리그래피 활용 패턴 분석
  2.2. 아르 데코 기하학적 문양 분석
  2.3. 초서체 와 기하학적 문양을 이용한 모티브와 패턴디자인
 3. 잔(杯) 문양디자인 사례 및 활용
  3.1. 잔(杯)의 종류 및 문양사례
  3.2. 최종디자인 결과물과 적용예시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순영 Yang soon-young. 강원대학교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강사
  • 임혜숙 Im hye-sook. 강원대학교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