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색채배색에 따른 미각과 시각적 감성 연구 - 오방색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taste and visual sensitivity research based on arrangement of colors - The main item is the Korean traditional five-cardinal-colors -

김성민, 손원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is an old Korean adage saying What looks good tastes good. Among the five senses, which consist of vision,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a vision plays the greatest role in affecting the taste. While many reasons are discussed about the relationship of food and visualization, the color arrangement between food and plates should never be ignored from the one of the important visual factors that stimulates one’s appetite. This research indicates this close relationship of food and plates in visualization, specifically, their color harmonization. The research only covers and is restricted to Korean food based on Korean traditional five-cardinal- colors. The arrangement of five-cardinal-colors which consists of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and its interrelationship with sensitivity factors is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Customer sensitivity on arrangement of colors, Charles Egerton Osgood’s SD method, which can estimate sensitivity, is used in this research. The color samples from Korean traditional five-cardinal-colors and taste adjective are collected, and then they are tes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ests and collected analysis, the conclusion is drawn to determine the close relationship of color arrangements of Korean traditional five-cardinal-colors and taste of food.

한국어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옛 속담이 있다. 미각에 미치는 오감 중 시각은 큰 영향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 한 시각적 요인에도 여러 가지 이유가 존재하고 있지만 음식과 그릇 색채 사이에도 배색 조화가 존재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의 색채와 음식이 놓이는 그릇 색채의 배색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 연구 범위로 한국 음식은 대게 한국 전통색인 오방색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오방색으로 제한하고 있다. 오방색인 청, 적, 황, 백, 흑을 각각 배색하여 색채 배색과 감성인자와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색채배색이 소비자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감성평가 기법인 찰스 오스굿의 SD법을 사용하였다. 오방색의 샘플과 미각 형용사를 추출하고 실험,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감성인자에 따라 오방색의 색채배색이 미각과의 상관관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오방색의 의미와 상징성
  2.2. 미각과 색채의 관계
 3. 오방색 배색에 따른 감성실험
  3.1. 실험
   3.1.1. 샘플 추출
   3.1.2. 형용사 추출
   3.1.3. 조사
  3.2. 분석
   3.2.1. 측정용어 평균치
   3.2.2. 상관계수행렬
   3.2.3. 주성분 분석
  3.3. 고찰
   3.3.1. 색채배색과 감성인자의 상관관계
   3.3.2. 공통된 감성인자를 가진 색채배색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민 Kim seong-min. 부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 손원준 Son won-jun.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