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s among Country Image of Korean Fashion-Product, Fashion Product Evaluation Attributes, and Brand Attitud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ce and Ethnocentrism -
초록
영어
China is increasingly becoming a primary country for global fashion market. There are already too much competition among global fashion bran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country image of fashion-product, product evaluation attributes, and brand attitude of Chinese consumers.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face and ethnocentrism were investigated. The final sample of 23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9.0. Results showed that fashion-product country image included 'fashion', 'globalization', and 'technology'. The fashion-product evaluation had two factors of 'brand/quality' and 'aesthetic' attribute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fashion and globalization factors influenced the brand/quality attribute positively. Also, fash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esthetic attribut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face and ethnocentris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 evaluation attributes and brand attitude. The paper provides the better understanding of fashion-product country image and product evaluation attributes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offers fashion marketers insights into how to develop fashion- product country image marketing strategies for Chinese consumers.
한국어
중국은 점점 글로벌 패션 시장의 주요 국가가 되고 있으며, 이미 각국의 패션 브랜드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패션제품에 대한 국가이미지, 패션제품의 평가속성, 브랜드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며, 체면과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최종 232부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19.0을 사용하여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패션제품 국가이미지는 ‘패션성’, ‘세계성’, ‘기술성’으로, 패션제품 평가속성은 ‘브랜드/품질 속성’과 ‘미적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패션제품 국가이미지의 패션성, 세계성은 브랜드/품 질 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션제품 국가이미지의 패션성은 미적 속성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면과 자민족 중심주의는 패션제품 속성과 브랜드 태도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다. 브랜드/품질 속성과 체면의 상호작용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미적 속성과 체면과의 상호작용 또한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민족중심주의는 미적 속성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제품에 대한 국가이미지, 패션제품 평가속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여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실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패션제품 국가이미지
2.2. 패션제품 평가속성
2.3. 체면
2.4. 자민족중심주의
2.5. 브랜드 태도
3. 연구 방법 및 절차
3.1. 연구 가설
3.2. 자료수집
3.3. 측정도구
3.4 자료분석
4. 결과 및 논의
4.1. 주요 변인들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4.2. 패션제품 국가이미지가 패션제품 평가속성에 미치는 영향
4.3. 패션제품 평가속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4.4. 패션제품 평가속성과 체면의 상호작용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4.5. 패션제품 평가속성과 자민족중심주의 상호작용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