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폭력가정의 아동과 어머니를 위한 집단미술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원문정보

A Qualitative Study on Group Art Activity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강희숙, 신경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n experience of group art activity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For this purpose, group art activity programs and 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o 8 children and 4 their mothers living in shelter for domestic violence victim located at K city, after then, this data were analysed by Colla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Children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were drawn 7 themes clusters and their mothers were drawn 3 themes clusters. Children’s themes clusters were ‘still surviving the fear of that time’, ‘difficulty of an adaptation of the new friends’, ‘want to be understanding by my mother’, ‘being expression by distorted way’, ‘coming caring heart’, ‘being self-confidence’ and ‘having dream about a happy home’. Their mothers’ themes clusters were ‘marriage became the beginning of unhappy’, ‘no child support guideline’, ‘getting stability’ As a result, we suggested to dissemination of child–mother program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enforcement of effective parents education program, and recruitment of specialist for children in the shelter.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폭력가정의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집단미술활동을 실시한 후 그에 대한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K시의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아동 8명과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심층면접을 진행한 후 Colaizzi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폭력가정아동은 7개의 주제묶음이 도출되었고, 폭력가정의 어머니는 3개의 주제 묶음이 도출되었다. 즉, ‘그때의 공포가 아직도 되살아남’, ‘새 친구와 적응하는 것이 버거움’, ‘엄마에게 이해받고 싶음’, ‘왜곡된 방법으로 표현함’, ‘배려하는 마음이 생김’, ‘자신감이 생김’, ‘행복한 가정에 대한 꿈을 가짐’ 등이었다. 그리고 폭력가정 어머니의 주제묶음은 ‘불행의 시작이 된 결혼생활’, ‘자녀양육의 기준이 없음’, ‘안정을 찾아감’ 등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폭력가정아동과 어머니가 함께 할 수 있는 모-자 프로그램의 보급, 쉼터 입소 어머니를 위한 효율적인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그리고 쉼터 입소 아동을 위한 전담 인력의 필요성 등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폭력가정 아동과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특성
  2. 미술활동에 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Colaizzi 연구방법
  2. 연구대상
  3. 자료수집과 진행과정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폭력가정아동의 집단미술활동 경험
  2. 폭력가정 아동 어머니의 집단미술활동 경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희숙 Kang, Hee Sook.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신경애 Shin, Kyung A.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