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 반응 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Draw-a-Story Test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김태희, 김갑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raw-a-Story(DAS) test as a tool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27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e instruments we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by Ryff(1989) and the DAS Form A by Silver(1988). A reliability check was conduct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A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the consistency between the rat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ross-tabul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DAS emotion scores and self-image scores; that i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 when the scores of emotion and self-image were high. Second, both the DAS emotion and self-image scor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 the stimulus drawings choice in relation to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group with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tended to draw a neutral child (stimulus drawing 2) and a chick (stimulus drawing 11) more than the group with low psychological well-being. The group with low psychological well-being tended to draw a dinosaur (stimulus drawing 10) and a castle (stimulus drawing 14) more than the group with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반응특성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DAS의 유용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 중인 대학생 427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Ryff(1989)의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와 Silver(1988)의 Draw-a-Story(DAS) Form A형을 사용하였다. 자척도의 구성을 위해 내적일치도에 의한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그림의 채점자간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상관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AS의 정서내용 점수와 자기상 점수는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정서내용 점수와 자기상 점수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 및 자기상 점수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자극그림선택차이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중성적 아이(자극 그림2), 병아리(자극 그림11)을 그리는 경향이 많고,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공룡(자극 그림10), 성(자극 그림 14)를 그리는 경향이 많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DAS의 정서내용 및 자기상 점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2. 심리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 및 자기상 점수의 차이
  3. 심리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DAS자극그림 선택유무의 차이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희 Kim, Tae Hee.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박사과정 수료
  • 김갑숙 Kim, Gab Sook.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