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북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Plain Roof-tiles transitions in the periods from Unified Silla to Koryo Dynasty in the Jeonbuk region

차인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udi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rare compared to those Three Kingdoms and Koryo Dynasty. And even that studies did not examined thoroughly in terms of analytical attributes and most of them gave undue value on diachronic views, resulting as lack of consideration about regional difference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I would like to discuss about features and transitions of plain roof-tiles from Unified Silla to Koryo dynasty found in the Jeonbuk region. In order to do this, I looked through the existing attributes of plain roof-tiles based on traditional roof-tile production process and sorted 9 types from them. I chose plain roof-tiles found in the Jeonbuk region which their production period is recognizable.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paddle board gets longer following ‘short→middle length →long’transition as time goes by from Unified Silla to Koryo dynasty. And following this, the preferred pattern transition is ‘linear,lattice→herringbone, complex’. For Convex roof-tiles, basic shape transition is ‘Tosu roof tiles→Migu roof tiles’, their paddled side’s shape transition is ‘angular→round’, and their upper part transition is ‘ both trimming and non-trimming→only trimming’. In addition, their inner side modifying transition is ‘non-modifying, shearing→water trimming’, and direction of roof-tile cutting becomes mostly inner side. Also, roof-tile becomes larger to 39cm long in average and thicker than 2cm, and sand drying traces are sometimes found in the early times but disappear later due to trimming. These transitions appeared from interactions between the social factors, convenience of roof-tile producing, economic efficiency, ornamental factor based on aesthetic expressions, and functional factor related with flow of rainwater, which basically derived from the increased demand for roof-tiles. And these transitions can be categorized from Phase I to PhaseV.

한국어

통일신라시대 평기와 연구는 삼국과 고려시대에 비하면 매우 저조한 편이다. 이마저도 분석속성에 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대부분 통시적인 관점에 치중해 지역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글에서는 전북지역에서 출토된 통일신라~고려시대 평 기와의 특징 및 변천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통기와제작공정을 바탕으로 기존의 평기와 속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중 9가지를 선별하였다. 분석은 전북지역 출토 평기와 중에서 제작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기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평기와는 통일신라~고려시대로 이행되면서 타날판은 단판→중판→장판으로 길어지며, 이에 따라 선호하는 문양도 선문·격자문→어골문·복합문으로 변화되는 것을 파악하였다. 수키와는 토수→미구 기와로, 타날면 형태는 각짐→둥금, 상단부는 정면· 무정면→정면, 내면 조정은 무조정·깎기→물손질, 와도질 방향은 내측으로 정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와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길이 39cm, 두께 2cm 이상으로 커지 며, 모래 건조흔이 간혹 확인되다 정면으로 인해 사라지는 것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기본적으로 기와 수요의 증가, 사회적 요인, 기와 제작의 용이성, 경제적 효율성, 미적인 표출을 통한 장식적 요인, 유수와 관련된 기능적 요인이 상호작용한 것 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출토기와 검토
  1. 김제 봉월리 기와요지
  2. 전주 찰방유적 3지구
  3. 전주 동고산성
  4. 익산 왕궁리유적
  5. 익산 저토성
  6. 익산 미륵사지
  7. 익산 미륵산성
  8. 익산 모현동2가 묵동지구
  9. 고창 부곡리 증산유적Ⅰ
  10. 고창 아산댐 수몰지구내 청자요지 주변 건물지
  11. 정읍 고부 구읍성
  12. 임실 용암리사지
  13. 순창 대모산성
 Ⅲ. 속성별 편년 및 분석
  1. 준비 단계
  2. 성형 단계
  3. 건조 단계
 Ⅳ. 전북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평기와의 변천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인국 Cha In-guk. (재)호남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