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운동자원동원성 개념구조 검증

원문정보

Verification of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Learned Resourcefulness in Exercise

이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Conceptual Structure of Learned Resourcefulness in Exercise and its Validity. Learned resourcefulness is a cognitive-behavioral repertoire of coping skills by which an individual controls the potentially disturbing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Rosenbaum, 1990). Learned resourcefulness is acquired formally and informally throughout life, and it involves the ability to engage in non-negative thinking, solve problems, and believe in one's ability to manage adversity.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5 men and women who participated in exercise. For this purpose, the analyze of responses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SUL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that Learned Resourcefulness in exercise has a six factor structure(i.e., self efficacy, overcoming willingness, goal management, problem solving, pain control, irrational thinking control) with 25 item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learned resourcefulness in Execise.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Learned Resourcefulness in Exercise was identified validity, will be useful for measuring to general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psychological skill. This study suggested useful information about exercise behavior and exercise intervention.

한국어

[목적] 운동참여자가 운동을 통한 신체적, 심리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운동을 오랜 시간 꾸준하게 실천하고 지속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 외적 자원을 통제하고 활용해 나가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개인의 내, 외적 자원을 통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도, 내적 변화 가능성 정도를 규명하는 심리적 개념이 학습된 자원동원성(Learned Resourcefulness)이다. 자원동원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일상활동을 어려움 없이 지속하기 위해 바람직하지 못한 사고, 감정, 감각의 영향을 조절할 때 사용되는 인지적 행동적 기술의 집합으로서, 정서생리적 반응에 대한 인지 사용, 문제해결전략, 즉각적인 만족감 지연 능력, 일반적 자기효능으로 구성되어 있다(Rosenbaum, 1990).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운동 문화 속에 나타나는 운동참여자의 자원동원성 개념구조를 탐색하고 그 특성을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방법]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운동참여자 3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버전과 AMOS 18.0버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Cronbach`s Alpha,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운동자원동원성의 개념구조는 자기효능감, 극복의지, 목표관리, 문제해결, 고통통제, 비합리적사고통제 요인의 6개요인, 25문항이 최종 추출되었다. 한편 운동자원동원성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자기효능감, 극복의지, 목표관리, 문제해결, 고통통제요인 사이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비합리적사고통제 요인과 문제해결, 고통통제 요인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운동자원동원성 하위요인들은 운동참여자들의 심리내적 조절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운동 실천, 지속, 중단 행동을 예측하는 변수로서의 역할도 가능하리라 본다. 따라서 운동참여자의 심리내적 조절 특성을 탐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운동참여자의 운동 상담 및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
  연구도구
  자료분석
  연구절차
 결과
  운동자원동원성 요인 탐색
  운동자원동원성 요인 구조 검증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이현영 Lee, Hyun-Young. 국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