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원문정보

A Study about Cultural Sensitivity and Stereotype about Immigrant Women among Nursing Students

김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ltural sensitivity and stereotype about immigrant women among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4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3.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21.8 years old. 68.1% of subjects had have experiences to travel abroad. Many subjects(90.3%) report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eeded. 66.0% of subjects met foreigners at clinical place among practice period. The cultural sensitivity and stereotype were middle range. It suggested that to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globalization, and to increase the nursing students’ cultural sensitivity, a transcultural nursing curriculum needs to develop for appropriate and effective services in cross-cultural situation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 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는 간호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1.79세. 대상자의 68.1%가 외국방문 경험이 있었고, 여행기간은 1개월 미만이 80.6%였다. 실습기간 중 외국인 환자를 만난 적이 있는 것으로 보고한 간 호대학생들은 66.0%였고 대상자의 90.3%가 다문화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 은 4점 만점에 2.90점이었으며,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3.01점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상실습 기간과 다문화 관련 교육 요구, 외국 방문 경험이었으며,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 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관련 교육 요구이었다. 이에 다문화 시대에 대비하여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 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과 다문화 관련 특성
  3.2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 이주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3.3 대상자 특성에 따른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 관념
  3.4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지현 Ji Hyun Kim.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