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ith every past administration, the atmosphere of introducing a local police system drew attention from us, and such atmosphere was enough to raise an illusion that the local police system is to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However, since the Korean National Police was established in October 1945, the fact that a local police system has been executed from July 1st 2006 in a part of Korea, namel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a memorable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n Police that now there are two types of a police systemin Korea. Quite so, in introducing a local police system, namely a local police regulation should be made, and this should come as a series of laws through either through a government legislation or a legislation by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laws should also be passed through a public hearing where relevant groups in various sectors of the society participate in, and be made complete local police laws and implementing ordinances after the National Assembly Judiciary Committee and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The execution of a local police system in Korea would only be then possible after such process. These relevant bills were made in the Roh Moo-Hyun participative administration and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e local police bills of YooGi-Jun and Lee Chul-Woo, who ar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se bills were automatically discarded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s of the relevant members and the administrations. Now,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at started on February 25th, 2013 has also started a local self-government development committee. And, a task force team under that committee was launched at the end of December 2013 for the introduction of a local police system and has started actions to construct a new local police model. I look forward to seeing what kind of a model would be suggested by this task force team. Since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reported to the President in May 2014, and it is in the early stage of this administration, there is still some room for execution in terms of time. If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is for the happiness of the nation, it needs to be drastically executed. In any case, the issue whether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ill be able to execute the local police system is an assignment for the future, which will only be known by waiting.
한국어
역대정부때마다 자치경찰제를 도입하자는 분위기가 활발하게 우리의 관심을 끌었고, 이러한 분위기는 곧 자치경찰제가 머지 않아 도입될 것이라는 착각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아무튼 우리나라 국가경찰이 1945년 10월 창설된 이후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라는 일부 지역에서 자치경찰제가 유일하게 시 행된 것만으로도 우리나라에 2개 종류의 경찰제도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경찰사 에 길이 남게 되었다. 모름지기 자치경찰제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가칭 자치경찰 법안이 만들어져야 하고, 이것이 정부 입법발의든 국회의원을 통한 의원입법발 의든 일련의 법안이 나와야 하고 사회 각 분야의 관계단체들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거치고 국회법사위와 본회의 등을 거쳐 완전한 자치경찰법과 시행령이 나와 주어야 한다. 그런 후 이것을 토대로 우리나라에 자치경찰제가 비로서 시행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법안들이 노무현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에서 만들어졌 고 여기에다가 유기준 의원과 이철우 의원의 자치경찰법안도 만들어졌으나 결 국에는 국회의원과 정부의 임기만료를 통해 자동 폐기되곤 하였다. 이제 2013 년 2월 25일 새로이 출범한 박근혜 정부에서도 지방자치발전위원회를 발족시켰 으며, 그 소속하에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TFT가 2013년 12월 말에 출범하여 새로운 자치경찰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활동에 들어갔다. 본 TF팀에서 어떤 모 델을 그려낼 것인지 기다려진다. 본 모델이 2014년 5월 대통령에게 보고될 예 정이며 정권 초기인 만큼 시행의 가능성도 아직은 시간적 여유가 있다. 본 제도 의 도입이 국민의 행복을 위한 것이라면 과감하게 시행될 필요가 있다. 아무튼 박근혜 정부가 과연 자치경찰제를 시행할 수 있게 될 것인지 하는 문제는 미래 의 과제이므로 기다려보아야만 알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노무현 정부의 자치경찰제
III. 이명박 정부의 자치경찰제
1. 지방분권촉진위원회안
2.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안
3. 이철우 의원안
IV. 박근혜 정부의 자치경찰제
V. 결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