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조선 후기 정사류精舍類 서재의 공간과 의미 - 柳成龍의 安東 ‘遠志精舍’와 宋時烈의 回德 ‘南澗精舍’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pace of JeongSa Studies and It’s Meaning in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정사류精舍類 서재의 공간과 의미 - 유성룡의 안동 ‘원지정사’와 송시열의 회덕 ‘남간정사’를 중심으로

류승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talking abou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especially, concentrate on Jeongsa class study. The Study which is a space for readings, writings and such activities of Literatis in Late Joseon Dynasty could be classified ‘Jeonsa’ and ‘Sarangchae’. Therefore, a Study, the space for literati’s activities has two types and each type has one’s features. Jeongsa-class is a independent building, be in near area for living; Sarangchae is a building or not, it included in one house so that a attached space. In late Joseon Dynasty, the literatis settled their own buildings on good for academic and philosophic researching. Typically, Ryu Seongryong(1542~1607) who the famous respected philosopher, politician, and scholar set his study WonjiJeongsa in Hahoe, Andong province, South Korea. After Ryu, later 90 years, the great reader of Gentry, Song Siyeol(1607~1689) built the study Namgan- Jeongsa in Hoedeok, Chungcheong province. These two scholar’s studies are distinguished in some issues. WonjiJeongsa, by Ryu, was a component of two buildings, one main hall and pavilion. It is important point that the pavilion, name is ‘Yeonjwadae’, import outer scenes of village, good landscapes of cliff BuYong’s into the Jeongsa. And the pavilion get a effect of conjoining with the main hall that two buildings look like one mass. Importing outer view shows the significant philosophic thought of Ryu and his disciples. Contrariwise, Song’s study, the NamganJeongsa was built in deep forest, for immersion. He designed that the water flows under his room, heard its sound. Its effect was the feeling about human be in nature. The reason of nature, the big issue for Song, always be with him and it was one of the kernel researched by Song. These two main scholar’s choice indicate that the issue what is interrupted meaning of combine the spaces. The literatis built their concepts about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imself in architectures and its type of components.

한국어

한국건축사학에서 서재는 두 유형 ‘사랑류(舍廊類)’와 ‘정사류(精舍類)’로 분류하는 데 전자는 전체 가옥의 주요 부분인 사랑채이면서 서재의 역할을 한 경우에 해당하 는 것들이며, 후자는 독서를 전제로 하고 살림집으로부터 독립하여 조영된 건물을 가리킨다. 이 글은 서재의 두 유형 중에 정사류를 대상으로 하되, 안동에 있는 류성 룡의 ‘원지정사(遠志精舍)’와 회덕에 있으며 송시열의 서재였던 ‘남간정사(南澗精舍)’ 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서재 공간의 특성과 그 공간의 의미에 대해 다루 었다. ‘서재(書齋)’가 ‘책을 읽는 공간’을 의미하는 대표 개념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중국 당대(唐代)의 문헌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며 본래 개인의 독서와 시작(詩作) 등을 위 한 공간이었으나 독서와 강학을 겸하는 공간으로도 쓰였고, 조선 후기에는 장서(藏 書)와 열람의 공간으로도 활용되었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지식과 교양을 상징하 는 공간으로 변모하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도 그런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16세기 후기에 지어진 원지정사는 안동 하회에 있으며 본당과 누각으로 구성된 서 재다. 살림집인 충효당과 멀지 않아 오로지 독서와 사색을 위한 공간으로 쓰였고, 특히 누각인 연좌루는 주변의 경관을 감상하며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조망의 공간 으로 쓰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1687년에 송시열이 지은 남간정사는 깊은 숲속에 있었으며 바로 앞에 연못을, 개울물을 건물 아래로 흐르게 하여 인공적으로 조성된 자연 속에 자리했다. 이 두 서재는 오로지 개인을 위한 공간이었으며 그 주체들은 자신이 추구하는 학문 과 사상의 지향을 건물 구조에 반영하였다. 원지정사는 사색의 공간을 담장으로 외 부와 분리하되 누각으로 그 폐쇄성을 방지하였고 남간정사는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 되 스스로 물의 미덕을 쫓으려는 의도를 건물의 구조에 담아냈다. 서재는 자연 속에 인간이 있으면서 추구하는 가치를 상승시켜 와유(臥遊)의 경지까 지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 글에서 살핀 두 거물의 서재들은 각각 지향하 는 학문과 철학의 특성을 담고 있는 공간으로 해석해야 그 참뜻을 오롯이 읽을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서재의 개념과 유형
  1) 개념
  2) 유형
 3. 정사류 서재
  1) 안동 하회 원지정사
  2) 회덕의 남간정사
 4. 정사류 서재의 공간과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승민 Ryu, Seung Min. 문화재청 인천항 문화재감정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