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고고학 자료로 본 신라 고분제사의 성격

원문정보

The Character of Silla Tomb Ritual Ceremoney Baced on the Archaeological Site from Gyeongju

방민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ritual ceremonies perpomed during the tomb construction in the Gyeonju, Silla during the 5-6 centuries. The ritual ceremonies concerning the tomb construction are clarified into 3 process. First one is the ritual ceremony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burial process is executed. This process is characterized the dead person departing the living person. Therefore. artefacts of the dead person and utensils for the ceremony are destroyed and buried, which symbolize departing execution the dead person from he living members of the family or society. And second process is performed during the process of the earth work of the mound. Tomb furnitures such as steamer and horse gear are buried in the mound. This process is characterised a farewell ceremony for the dead person to move from this world to the other world. Buring the horse gears in the mound signifies the long journey of the dead person in the spritual world. After all the process of mound marking job is finished the final rite is performed. This time the burial furnitures are pottery stands and large jars which are placed around the mound and in the ditches surrounding the mound. This process characterized as the successor of the dead person person performing the ceremoney. The successors promise the duties and obligation in the family and society.

한국어

신라시대의 매장시설인 거대한 고분은 발굴조사를 통하여 피장자의 정치ㆍ사회적 위치뿐만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매장관습과 문화․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 구는 이러한 고분의 성격을 바탕으로 당시의 세계관에 의해 죽은자의 처리와 고분의 축조과정에서 이루어진 각종 의례와 제사에 대한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고분의 축조과정에 따라 크게 3번의 제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각 단계마다 그 제사의 성격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사자를 매장주체부에 안치한 후에 이루어진 제사는 사자와의 분리를 위한 것이다. 이것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각종 토 기편이 한 곳에 파쇄되어 있거나 또는 고배, 장경호 등의 견부(肩部)와 각부(脚部), 동부(胴部)와 경부(頸部)를 의도적으로 분리한 것에서 확인된다. 매장축조 과정중에 이루어진 제사는 사자를 저승으로의 장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사자를 저승 으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서 봉분의 성토과정에서 소토(燒土)와 일반흙을 교대로 축 조한다든지 말의 순장이나 마구류 등의 출토가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리고 고 분의 축조가 완료된 후에 이루어진 제사는 일반적인 조상제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 연구대상과 범위
  2) 연구방법
  3) 고고학에서의 제사
 3. 분묘제사 양상에 따른 범주분류
 4. 출토유물에 대한 성격
 5. 고분제사의 성격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방민규 Pang, Min Kyu.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