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자와 칸트 미학의 미술 교육 방법론적 함의

원문정보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Fine Art Education deduced from Aesthetics in Chuang-Tzu and Kant

노은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ould I like to explain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esthetics of Kant and that of Chuang-Tzu, describing the former as a transcendental and the latter as a sitting-forgetting. And I will than lead to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 for a fine art education which we could deduce from the two aesthetic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s aims, in the first chapter would I like to analyse the concept, ‘transcendental’, which Kant uses, and the concept, ‘sitting-forgetting’, which Chuang-Tzu uses. And than in the second chapter would I like to justify that it is the methodology which makes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esthetics, specifying Kant’s methode as the logical introspection, and Chuang-tzu’s one as the intuitive. And in third chapter would I let you see the merit and the short of the two aesthetics, comparing the positions of the two philosophers about the relation between a thing and a language. I will accent that Kant holds in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a new metaphysics on thing, world and human being, while Chuang-Tzu is trying to deconstruct all the ideas that Kant has constructed. However, the two philosophers have a same ground in the sense that their aesthetics lead eventually to practical ones. From the fifth chapter to the seventh, I would like to justify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 for the fine art education which we can read form the two aesthetics. In conclusion, Chuang-Tzu’s aesthetics supposes the intuitive and forgettable methode for fine art education, Kant’s one the critical and inferential methode. I finally insist that the two ways should be synthesized.

한국어

본 연구는 우선 장자의 미학을 좌망미학으로 칸트의 미학을 선험미학 으로 규정하고 두 미학 사상의 차이성과 동일성을 해명한다. 그리고 여 기서 도출할 수 있는 새로운 미술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제 1장에서 칸트가 사용하는 ‘선험적’이라는 개념과 장자가 말 하는 ‘좌망’이라는 개념을 분석한다. 제 2장에서는 두 미학의 차이와 유 사는 두 철학자가 활용하는 방법론에 있다는 것을 해명하면서, 장자의 철학방법론을 직관적 내성법으로 칸트의 철학방법론을 논리적 내성법으 로 특성화한다. 제 3장에서는 사물과 언어의 관계에 대한 양자의 입장을 비교하면서, 칸트의 선험적 논리적 방법과 장자의 경험적 직관적 방법 사이의 장단점을 해명한다. 이때, 논자는 칸트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사물, 세계, 인간 등에 대한 일종의 새로운 형이상학을 구성하는 입장에 있다면, 장자는 해체론적 관점에서 칸트적인 이러한 일체의 구성주의적 관점들을 해체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철학이 최종적으로 의존하는 방법론은 직관적 방법이라는 것을 해명하면서, 두 미학 사상은 실천미학이라는 공동지반을 가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제 5장에서는 장자의 좌망미학에서 도출할 수 있는 미술 교육 방법론적 함의를 직관의 방법이라고 특성화하고, 제 6장에서는 칸트의 선험미학에서 도출할 수 있는 미술 교육 방법론적 함의를 추론의 방법 이라고 특성화한다. 마지막 제 7장에서는 미술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위해 칸트의 비판적 방법과 장자의 좌망적 방법은 종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역설한다.

목차

<논문 요약>
 1. 선험미학과 좌망미학
 2. 논리적 내성법과 직관적 내성법
 3. 사물과 언어 : 이분법의 문제
 4. 미술교육과 직관
 5. 미술교육과 추론
 6. 결론 : 비판을 넘어 좌망으로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은임 NOH EUN IM. 성신여대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