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가사에 형상화된 ‘평양(平壤)’의 지리ㆍ문학적 표상과 그 변모 양상

원문정보

Geographical and literary representation of Pyeongyang and its transformation features embodied in the Gasa from the late Joseon period

김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formation features of geographical and literary represen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Pyeongyang embodied in the Gasa from the late Joseon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Pyeongyang had been recognized as a ‘town of Gija(箕 子)’ in terms of ideological level and a consecutive place of magnificent view in the works in the 16th ~ 18th centuries. Features of literary embodiment are ideological and retrospective as for Giseong(箕城), and other magnificent sceneries mainly had transcendental and ideal image. However, in the 19th century, works on Pyeongyang had been gradually embodied as a commercial city rather than historic meaning. Furthermore, the spatial features of Pyeongyang were transformed as an entertaining and pleasure-seeking place such as insertion of boating play and romantic Gasa with Ginyeo(妓女). In the process, features of literary embodiment were changed to specific and sensual features, and description of individual space in Pyeongyang had been expanded which showed all-inclusive spatial features by section. In particular, such transformed features found in this classic literature had similarity in other art area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its horizon on the cultural tendency of late Joseon that attempted to represent Pyeongyang.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후기 가사 문학에 형상화된 ‘평양(平壤)’의 표상에 주 목하여 그 지리․문학적 변모의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평양이 관념적 층위에서는 ‘기자의 도읍’, 가시적 층위에서는 절경지들이 연속 된 공간으로 주로 인식되어 왔다는 점은 16~18세기 작품 속에 나타난 표상들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 때 형상화의 특질은 ‘기성’의 경우에는 관념적․회고적이고 여타 명승지들은 주로 초월적․이상적 심상이 주를 이 루고 있었다. 그런데 19세기 작품들에 이르면 점차 평양의 역사적 의미보다는 상업 도시로서의 면모가 중점적으로 형상화되고 있었다. 나아가 선유놀음이 나 기녀와의 애정 서사가 삽입되는 등 평양의 공간성이 점차 유락화(遊 樂化)․향락화(享樂化)된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학적 형상화 의 특징 또한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변모하였고 평양 내의 개별 공간 들에 대한 묘사가 확장되면서 단위별 공간 특징이 전면화된 특징도 포 착할 수 있었다. 특히 고전문학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러한 변모의 양상은 회화, 지도, 야담 등과 같은 여타 예술 영역들과도 유사성을 보이고 있어 평양을 재 현하고자 한 조선후기의 문화적 경향성에 대한 이해 지평을 보다 확장 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1. 서론
 2. 16~18세기 : 개별 장소로 표상된 평양과 인식 공간의 확장
 3. 19세기 : 전경화(全景化)된 평양의 풍경과 공간의 유락화(遊樂化)
 4.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희 Kim Yun Hee. 고려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