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법안비용추계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원문정보

The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of Cost Estimates System for Bill

정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st estimates for bill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since the revision of May 2005 National Assembly Act from the 17th National Assembly, applied to all proposed bills requiring considerable amount of budget. Cost estimates for bill were added to 1,628 bills proposed during the 17th National Assembly and 4,428 bills proposed during the 18th National Assembly, showing a remarkable expansion of cost estimates for bill. However, despite the growth in number of cost estimates for bills attached to proposed bills, cost estimates system for bill has declined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from qualitative perspective. The main reason for the decline of cost estimates system for bill is the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posed bills and the lack of National Assembly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cost estimates for bill. In 2011, bills attached with bill cost estimates for bill amounted to 265 bills, and 176 of which, accounting for 66.4 percent of the 265 bills, were drawn up by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It can be inferred from this fact that cost estimates system for bill has been sustained because of the organization specially in charge of the bill cost estimates, a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fortify the special organization in order to run cost estimates system for bill. Cost estimates for bill are currently being used in screening individual proposed bills. However, in the future, cost estimates for bill should be utilized with the control system over budget increase, baseline projection and scorekeeping in order to effectively function as basic data for predicting and controlling the size of government spending.

한국어

법안비용추계는 제17대국회인 2005년 5월 국회법이 개정되면서 상당규모의 재정이 소요되는 모든 의안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적용되게 되었다. 제17대국회의 경우 1,634건, 제18대국회의 경우 4,428건의 법안에 비용추계서가 첨부되어 비용추계제도에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위원회에서의 활용 저조, 위원회 제안법안의 비용추계서 첨 부비율 저조, 실제 비용추계된 비율의 감소, 의원실의 미첨부3호 사용비율의 계속적 증가 등 을 볼 때 질적으로는 제18대국회가 제17대국회보다 오히려 낮은 실적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제19대국회에서도 특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발의 법안 수가 급증한 것이고, 다음으로는 비용추계제도를 지원하는 국회의 법적·제도적 인프라가 부족 하기 때문이다. 2011년의 경우 미첨부사유서가 아닌 실제 비용추계 건수는 265건이 첨부되 었는데 이중 66.4%인 176건을 국회예산정책처가 작성한 것을 볼 때 현재 정도로 비용추계제 도가 운영되는 것은 비용추계 전문조직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며 향후 제도의 개선과 함께 조직의 보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현재 법안비용추계는 개별 법안의 심사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예산증액에 대한 통제시스템과 함께 기준선전망과 재정소요 점검으로 정부 재정규모를 예측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확대되어야 한다. 주제어 : 법안비용추계, 미첨부사유서, 기준선전망, 재정소요점검, 국회예산정책처

목차

<요약>
 I. 서론
 II. 법안비용추계의 의의
 III. 법안비용추계제도의 운용현황
 IV. 현행 법안비용추계제도의 문제점
 V. 법안비용추계제도의 발전방향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영진 Young-Jin Jung. 국회예산정책처 법안비용추계1과장(경영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