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춤의 오브제 활용연구- 「동해안 별신굿」과 「Soul, 해바라기」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Application of Object in Korean Dance -Emphasis on “The East coast Byulshin gut” and “Soul, Sunflower”-

김민조, 김운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ncing is a type of art expressed by the human body which has attempted to combine various ingredients and genres in order to maximize its expression. As many kinds of technologies have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objects have stood out as elements of expression and develop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delivering an artist’s purpose. In other words, the objec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accelerator of works of art in general, enabling diverse communication among genres. The role and function of objects can be divided into the ‘symbolic object’ and the ‘functional object’ in works of art. The ‘symbolic object’ plays a role as a messenger, delivering a theme and synopsis of artwork. The ‘functional object’ indicates a visualization function as one of the elements of work, creating new meanings and spaces in the ar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objects by examining their function and nature through practical use of objects in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East coast Byulshin Gut”,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popular art, shows its themes and purpose with the symbolism of a variety of objects in each Gutgeori. These objects are, so to speak, used symbolically and as messengers for delivering the meaning of dance. They are also used visually as functional objects which are aesthetical tools to show beauty with a purpose of pleasing God. The objects in “Soul, Sunflower”, a Korean creative dance and performing art, demonstrate Korean color and sentiment by the using tools of Gut and instruments of the traditional dance. It stands for three intentions; purification and preventing misfortune, pleasing God and finally, releasing the dead in peace. These ‘symbolic objects’ enhance the traditional signification. At the same time, with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genre called ‘installation art’ in the artworks, the ‘functional object’ plays a role by dividing space, which creates new spatial formations and a three-dimensional space on stage which has symbolic meanings assigned to it. “Soul, Sunflower” has actively made the best use of traditional themes within Korean dance, in the modern sense and using objects of Gut, and developed as a representative Korean cultural product. These two works represent two types of Korean dance using Gut; traditional dance and creative dance. The objects of traditional dance mainly imply common meanings as ‘symbolic objects’. As these traditional objects have been created and modernized, development of performance progressed with alongside this transformation of tradition. Thus, the objects in Korean creative dance have a role as ‘symbolic objects’ in a functional way, suggesting themes and synopsis and directing the atmosphere. They also act as ‘functional objects’ that are constituents influencing the movement of dancers and creating new space. They have visual and instrumental effects through objects of installation art, image and stage lighting. In conclusion, the object in Korean dance imparts symbolic meaning to performance through expressive language and shows various new images, enabling expansion of expression and conveying meaning in a work of art. The objects in performance provide new experience which deviates from common values of the objects in question and stimulates the imagination of the audience.

한국어

무용이란 인간의 신체로 표현하는 예술이며, 그 표현의 극대화를 위해 본질요소 외의 다양한 요소와 장르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여러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20세기 이후 ‘오브제(object)’ 는 표현 요소로 부각되었고, 예술가의 의도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로 발전하였다. 즉, 오브제 는 장르간의 다양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삶과 예술의 간격을 허물어 총체적 예술작품의 촉매 제 역할을 한 것이다. 오브제의 역할과 기능은 춤에서 상징적 오브제와 기능적 오브제로 나눌 수 있다. 상징적 오브 제는 작품의 주제, 줄거리를 전달하는 의미전달자의 역할을 말한다. 기능적 오브제는 미학적 도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오브제를 통하여 창출된 공간에 장소성과 의미를 부여하여 작품의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시각화로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한국춤에서 오브제의 활용을 통해 그 기능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한국 전통춤이자 전통 민중예술인 「동해안 별신굿」은 각 굿거리마다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하면 서 그 오브제가 지닌 상징성을 통해 거리 내용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의미전달자로서 의 ‘상징적 오브제’로 활용되어졌다. 또한 상징적인 역할과 함께 신을 기쁘게 하는 목적으로 화 려하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미적인 도구로서 ‘기능적 오브제’의 시각적 활용도 파악 할 수 있 다. 한국 창작춤이자 공연예술인 「Soul, 해바라기」의 오브제는 굿의 무구(巫具)와 전통춤의 무구( 舞具)를 활용함으로서 작품에서 한국적 색채와 정서를 뚜렷하게 전달하고 있다. 굿에서 부정을 막고 정화하려는 것,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것, 망자를 평안히 보내는 의도를 상징하고 있다. 이러한 ‘상징적 오브제’는 전통적 의미를 더욱 제고시켜준다. ‘설치미술’이라는 타장르를 통해 공간을 나누어 상징적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새로운 공간창출과 평면무대를 입체적으로 시 각화하는 ‘기능적 오브제’의 역할을하였다. 「Soul, 해바라기」는 전통적 주제를 한국 춤사위와 현대적 감각 그리고 굿의 오브제를 적극 활용시킴으로서 한국의 대표 문화상품으로 거듭난다. 두 작품은 ‘굿’이라는 하나의 소재로 전통춤과 창작춤이라는 한국춤의 두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통춤의 오브제는 사회에서 통용되는 민중적 의미를 담고 있어 ‘상징적 오브제’로서의 기능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전통적 오브제가 창작화․현대화됨에 따라 그 전통을 기반으로 변용이 가미 되어 공연발달의 진보를 이룬다. 이를 통해 창작춤에서의 오브제는 작품의 주제와 줄거리의 암 시, 분위기 연출 등의 기능을 하는 ‘상징적 오브제’의 역할과 함께 설치미술, 영상, 조명 등의 오 브제를 통한 시각적이고 장치적인 효과를 주어 새로운 공간 창출과 무용수들의 움직임에도 영 향을 주는 요소로서 ‘기능적 오브제’의 역할로서의 활용이 되었다. 따라서 한국춤에서의 오브제는 표현 언어의 하나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해 주고, 작품의 의 미전달자의 역할과 함께 표현의 확장을 가능케 하여 새롭고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공연에 서의 오브제는 일상적 대상의 가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며, 그로 인해 관객은 풍 부한 상상력의 세계로 유도 된다.

목차

I. 서론
 II. 무용과 오브제
 III. 「동해안 별신굿」과 「Soul, 해바라기」의 오브제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조 Kim, Min-Jo. 인천예술고등학교 강사
  • 김운미 Kim, Un-mi.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