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東洋藝術에서 ‘化’ 境界에 대한 審美的接近 - 추사와 강암의 不作蘭圖를 中心으로 -

원문정보

The Aesthetic Approach of 'Change' State in Oriental Arts

동양예술에서 ‘화’ 경계에 대한 심미적접근 - 추사와 강암의 불작난도를 중심으로 -

권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astern art has been mostly based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elementally different from western art because eastern art is based on the nature. And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eastern art becomes more riped through imitating and hard working. Especially, caligraphy, the essence of eastern art, is that case. Depending on the art’s individuality and taste, it is expressed with being unskillful, purity, passion, or deviation. So an artist can experience self-amusement when he creates his own artistic world. Usually an art help a man to experience a beauty of things and all kind of thoughts in everyday life. A man experiences various beauty, is observed in the beauty, and accumulates sense of beauty. In that process a man can have his own eye for the beautiful. Every art pursues unseen metaphysical finality and attempts pleasure. But it is hard to be seen the final destina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borderline of ‘wha’ that is the final destination of metaphysical aesthetics based on Chusa’s and Gangam’s “Busaknando” However it is impossible that the borderline of ‘wha’ is realized. So we only try to reach its borderline. But some artist can be said that he is in the borderline of “wha”, because he sticks to his own art all his lifetime. However to be in the borderline, he should be riped with imitating and hard working,This paper studied the borderline of ‘wha’ in eastern art with the “bujaknando” of Chusa Kim, jung-hee(1786∼1856,) and Gangam Song, sung- yong(1913∼1999). The ability of judging beauty is premised on the subjectivity of aesthetic appreciation. If you trace their artistic life, you can realize that the “bujaknando” reached being riped by imitating and hard working. And not only the paintings but also the philosophical elements in the poetic expression of the painting show that they built the borderlin of ‘wha’. First, there are some philosophical elements of fusion both of confucianism and buddhist, 性中天 and 不二禪. In other words, coexistence and fusion of both confucian aesthetics and buddhistic aesthetics can be ‘wha’ that the eastern art pursues. second, 閉門覓覓 and 偶然寫出 are the components of artistic activity, being riped. Therefore the poetic expression of “busaknando” has basic components of artistic philosophy that forms artistic activity. And the two “busaknado” are quite different in the sense of aesthetics although the poetic expression of the paintings is the same. This means the various ways of judging the beautiful because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Chusa’s “busaknando” shows scholastic unskillfulness, while Gangam’s represents passionate aesthetic scene that breaks harmony. All of them could be possible by hardworking and being riped. So you can realize that these senses pursue ‘wha’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art. The borderline of ‘wha’ is the longing of eastern art that it pursues basically. Chusa and Gangam showed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ruth with “busaknando” in that they developed scholastic unskillfulness and passionate aesthetic scene that breaks harmony. This can be an aesthetic sense of caligraphy beyond times.

한국어

동양 예술은 주로 儒家와 佛家·道家의 사상을 토대로 형성되었다. 이는 자연에 바탕을 두고 模·臨·倣을 통하여 熟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동양예술의 진수라 하는 서예술은 더욱 그러하다. 동양예술 은 熟에 의하여 예술가의 개성과 嗜好에 따라 拙이나 樸·狂·逸과 같은 여러 심미경계로 표출된다. 인간 은 예술을 통하여 다양한 미를 체험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개성과 취향·기호에 따라 각자의 심미안을 가 지게 된다. 모든 예술은 보이지 않는 형이상의 궁극을 추구하며 心樂을 도모한다. 그러나 그 지향처가 可視化되는 것은 쉽지 않다. 본고는 동양예술에서 형이상의 심미의 궁극처를 ‘化’의 경계를 추사와 강암의 <不作蘭圖>를 審美的인 側面에서 接近하여 고찰하였다. 사실상 모든 예술가가 지향하는 ‘化’의 경계는 실현이 불가능하다. 다만 ‘化’의 경계를 指向할 뿐이다. 그러나 위대한 예술가는 ‘化’의 경계에 있다고 한다. 즉, 模·臨·倣을 통한 후천에 의한 熟, 천부적인 性靈과 格調를 ‘化’ 境界의 조건으로 본다. 본고는 ‘化’의 경계에 있는 서예가로 근대와 현대를 대표하는 서예가로 추사 김정희(1786∼1856, 이하 ‘ 추사’)와 현대의 서예가인 강암 송성용(1913∼1999, 이차 ‘강암’)을 예로 들었다. 특히 그들의 <부작난도 >를 통하여 化’ 境界를 심미하여 보았다. 심미능력은 審美의 主觀性을 전제로 하고 있다. 추사와 강암의 <부작난도>가 ‘화’의 경계를 형성하였음은 화제에 나타난 예술철학적인 요소 뿐 아니라 문인화 미학을 심미적인 측면에서도 확인하여 볼 수 있다. 화제에 나타난 예술철학적인 관점에서는 첫째 性中天과 不 二禪의 유·불의 혼융요소가 있다. 즉, 성중천과 불이선의 유가미학과 불가미학의 공존과 융화가 동양예 술이 구현하는 ‘化’로 보았다. 둘째로 閉門覓覓과 偶然寫出은 積工的인 예술활동의 요소로 熟이 있다. 또한 문인화 미학적인 관점에서는 추사 <부작난도>의 미감이 文字香的 古拙美感이라면, 강암의 <부작 난도>는 破中和에 의한 狂逸美感으로 심미된다. 추사의 문자향적 고졸미감과 강암의 脫中和, 破中和的 인 狂逸의 미감은 ‘化’의 경지의 顯示이다. 동양예술에서 ‘化’의 경계는 동양 예술이 근본적으로 추구하 는 憧憬의 길이다. 추사와 강암은 <부작난도>를 통하여 문자향적 고졸미감과 파중화의 광일미감으로 발화시켜 個性과 自己眞情을 보여 주었다. 추사와 강암의 <부작난도>는 시대의 간극을 넘어 서예로써 자신의 경계를 개척함으로 서예술의 ‘化’ 境界의 단면을 보여주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동양예술에서 ‘化’의 槪念
  1. ‘化’의 美學的意味
  2. 동양예술에서 ‘化’경계의 전제조건
 Ⅲ. 문인화에서 ‘化’의 妥當性판단기준
  1. 문인화의 특성과 寫意性의 相關關係
  2. 문인화의 감수와 심미의 미학범주
 Ⅳ.추사와 강암 부작난도의 ‘化’의 경계의 審美的 要素
  1. 화제의 예술철학
  2. 부작난도의 문인화 미학
 Ⅴ. 나오는 말
 ABSTRACT

저자정보

  • 권윤희 Kwon, Yun 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