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石亭 李定稷 文人畵의 淵源과 畵風 照明 - 梅, 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Origin and Painting Style Examination of Muninwha Worked by Seokjeong Lee, Jeongzic - A Journey Beginning from Apricot flower and a Orchid. -

석정 이정직 문인화의 연원과 화풍 조명 - 매, 난을 중심으로... -

김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okjeong Lee, Jeongzic (1841-1910)’s ja(a nickname after a coming-of-age ceremony) is Hyeung -oh, and his pen name is Seokjeong, Seokjeongsanin or Youngseok. He is a scholar representing Honam confucianism in the late 19C, is called one of Honamsamgul including Haehak Lee, Gi (1848- 1909), Maecheon Hwang, Hyun (1855-1910). He has a deep knowledge of in various field of erudition. He introduced western philosopher Kant and Bacon to Korea first, and was highly respected as a literary figure who helped old literature to root in Honam area. Not only was he so well versed in confucian philosophy and literary works that he left『Yeonseoksanbangmijeongmungo』 composed of 25 books, he was also extraordinary in other fields such as linguistics, astronomy, geography, medical study, paintings and calligraphic arts. And as shown in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the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 in Bukgyeong at the age of 28 served as a motive to expand his horizons of aesthetic appreciation. Needless to say about calligraphy and seal craving, enormous energy stemming from extensive, intensive learning is revealed in his paintings and calligraphic arts, involving mountain and water, flower and bird, and feathers of birds. The theory of Seohwaron -paintings and calligraphy- by Seokjeong suggests that adopting confucianism as a guide,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ld things, is a method in which potential talents can be developed further. Prose and poetry founded on theory of old literature called Gomunron showed a view of which Muninhwa must be acquired through practicing calligraphy first. In other words, he insisted on the theory of ‘bubgochangsin’ that the ability of creating new things can be only achieved through learning old things. He drew various flowers and trees not limited to sagunja(the four gracious plants) as the artistic works were getting commercialized in the late Choson dynasty. However it is remarkable that he maintained his frank drawing style that contained literati’s will and taste as a whole while he drew this kind of material. Usually he drew material used in Muninwha such as a apricot flower and a orchid. He was influenced by picture books popular among painting circles, and practiced works while imitating by famous artists such as Heo-ryeon, Chang, sung-up, and Chung, hak-gyo. His Muninwha is a calligraphic painting brewed by mellowed touch and profound learning emphasizing on spirit, and shows extraordinary touch in his apricot and orchid drawings that he had learned through calligraphy. Especially his apricot drawing shows his flowing and powerful hangseo stroke and his artistic philosophy. So it is technically outstanding and shows aesthetic beauty harmonized with theory and practical skill. As he explained how to draw orchid, he emphasized the drawing method, jeongdoo, seomi, dangdoo, quoting from 「Nanbo」『gajawonwhajip』, because it is appropriate to express plentiful and affluent and to depict firm and nimble. And he tried to depict clear and clean literati’s chivalrous sprit and dignified character through Maewhado by Gwonbub and Jimukbup. Meanwhile, through his Whajesi (a poem to the drawing) he expressed literati’s unyielding spirit and will metaphorically overcoming hardship, adversity, and worldy temptations. And it has the metaphysical state like ‘a painting in e poem, a poem in a painting’Seokjeong Muninwha used similar composition and way of expression repeatedly as a whole. This is because he tried to achieve truth by drawing, not to draw exactly as he mentioned in the Whajesi. Since then, his Muninwha had an influence on his time, honam area, especially Jeonbuk calligraphic painting circles as well.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his painting style is not in the technique or composition but in the point that he formed metaphysical aesthetic state of harmony among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rough educating fundamental principle of Muninwha.

한국어

石亭 李定稷(1841∼1910)은 字를 馨五, 號를 石亭 혹은 石亭山人, 燕石이라고도 하였다. 19C 조선 말기 호남 儒學을 대표하는 학자로 海鶴 李沂(1848∼1909), 梅泉 黃玹(1855∼1910)과 ‘湖南三傑’로 일컬어지 는 詩․書․畵 三絶作家이다. 그는 다양한 학문분야에 조예가 깊었는데 신학문으로 불리는 서양 철학가 칸 트와 베이컨을 국내에 최초로 소개하였고, 호남에 古文을 정착시킨 문학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25권 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燕石山房未定稿』를 남겼을 정도로 道學과 詩文에 대한 학문적 역량이 대단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학·천문·지리·의학·서화 등 여러 분야에서 一家를 이루었다. 또한, 그의 文集에서 드러나듯이 28세에 燕京을 다녀온 유학파로 燕京에서의 문화·예술적 자극은 그의 심미의식의 시야를 폭 넓게 넓혀주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탄탄한 학문적 역량 위에 축적된 書卷氣가 書畵작품 속에 녹아내 려 서예와 篆刻은 물론 山水·花鳥·翎毛에 이르기까지 兼通하였고, 그의 학문적 역량과 예술적 감성이 한 데 어우러져 고매한 逸格의 풍취를 드러내었다. 石亭의 書畵論은 古를 중시하여 師法으로 삼는 것이 재능을 펼칠 수 있는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詩文 은 古文論에 기반을 두었으며, 書藝를 바탕으로 文人畵를 연마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른바 法 古를 바탕으로 해야 올바른 創新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法古創新論을 주장했다. 석정은 조선 후기 상업화된 예술 상품화 현상 속에서 四君子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花卉類를 함께 그렸다. 그러나 이러한 素材들을 그리면서도 그의 繪畵 전반은 문인들의 意趣가 담긴 淡泊한 畵風으로 일관되게 그린 점은 매우 주목된다. 석정이 다루었던 素材는 대부분 文人畵的인 素材에 국한되었으며, 가장 많이 다루어진 소재가 梅와 蘭으로써 당시 畵壇에 유행했던 여러 畵譜의 영향과 함께 당시 유명한 화가인 허련, 장승업, 정학교 등의 작품을 臨模하였다. 그의 문인화는 熟練된 서예의 필치와 학문의 深 奧함이 빚어 낸 繪畵로써, 精神性이 강조되고 서예의 필법을 응용한 墨蘭이나 墨竹 등에서는 빼어난 필 치를 보여준다. 특히 석정의 墨蘭은 그의 流麗한 行書의 필력과 藝術哲學을 여실히 보여주는 花目으로 써 다른 어느 소재보다 이론과 실기가 겸비되어 빼어난 技巧와 審美意境을 보인다. 蘭法을 설명하면서 『芥子園畵傳』「蘭譜」에서 말한 釘頭, 鼠尾, 螳肚을 들어, 이와 같이 하여야만 비로소 풍성하면서도 윤택함을 표현하는데 적당하고, 굳세고도 날랜 모습을 묘사함에 있어서 알맞다고 강조했다. 또한, 圈法 과 漬墨法으로 그린 梅花圖를 통해 淡泊한 선비의 義氣와 格調를 표현코자 하였다. 한편, 畵題詩를 통해 고난과 역경 그리고 세속의 유혹을 超越․克復하는 선비의 기개와 의지를 比德的으로 昇華시킴으로써 전 통적 抒情詩의 상징성을 담고 있어 ‘詩中有畵, 畵中有詩’의 詩畵一致를 이룬 예술경지가 돋보인다. 石亭 文人畵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구도와 표현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그가 畵題詩에서 언급 한 것처럼 닮게 그리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뜻을 어떻게 전하느냐(傳神)라는 다분히 寫意的인 표현 으로 畵以載道에 목적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후 石亭의 문인화는 당 시기뿐 아니라 이후 호남 지역, 특히 전북 書畵壇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畵風은 기법이나 구도의 특징에 있는 것이 아니 라, 문인화에 대한 근본정신을 일깨워 주어 학문이 바탕이 된 詩·書·畵一致라는 形而上學的인 藝術境地 를 형성하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石亭文人畵의 藝術觀과 淵源
  1. 石亭의 藝術觀
  2. 石亭文人畵의 淵源과 素材
 Ⅲ. 石亭文人畵風의 특징
  1. 梅花- 圈法과 漬墨法을 통한 淡泊美
  2. 蘭- 三轉法을 통한 由末求本추구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도영 Kim, Doyoung.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