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시 교육종단자료에 나타난 초ㆍ중ㆍ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탐색

원문정보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Maturation of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 Middle ‧High School in Seoul

박혜숙, 전명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related to character and career education for educational policy. Specifically, it identifi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ation and self-esteem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10). We checked the validity of the scales us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ver two year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cales mean the same thing to students attending different types of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ssumption of metric invariance was satisfied, i.e., the items of career maturation and self-esteem scales wer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by the students attending different levels of schools. In addition, both the autoregressive effect and cross-lagged effects of the two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1st year self-esteem on that of the 2nd year was the largest, and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ation on that of the respective 2nd year variable was positive. However, the effect of the 1st year career maturation on the self-esteem of the 2nd year was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effect of the 1st year self-esteem on the 2nd year career maturation. Although we analyzed only two time point data sets, the findings of metric invariance of the scales were very encouraging.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high; however, because of the small items used for the self-esteem and career maturation construct, issues related to content-related validity exist.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인성․진로교육과 관련된 교육 및 사회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해내기 위해,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 간에 존재하는 인과구조와 장기연구를 위한 비교시 사용될 수 있는 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해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추후 지속적 자료가 수집되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에서 사용된 두 척도가 각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계 및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SELS 1차와 2차 자료를 사용하여 우선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매해 해당 척도를 각 학교급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 척도의 문항은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해석이 가능하였다. 또한 1차년도 자아존중감이 2차년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와 1차년도의 진로성숙도가 2차년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1차년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가 2차년도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해석되는 것이 가능하였다. 동일척도를 사용한 경로계수 크기가 가장 크게 나왔다. 1차년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는 2차년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를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진로성숙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보다 더 근소하게 작았다. 비록 2회의 자료이지만, 2회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점은 각급 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 간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매우 고무적이다. 비록 SELS에서 사용된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가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높기는 하지만, 소수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문항 내용 타당도 관련하여 문제가 있어 보인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과 측정도구
  2. 자료분석
  3. 모형 추정 및 평가 방법
 Ⅲ. 연구결과: 초‧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1. 형태동일성 가정 검증
  2. 측정동일성 가정 검증
  3. 공분산 동일성 가정 검증
  4. 조계수 동일성 가정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숙 Hye-Sook Park. 호남대학교 교수
  • 전명남 Myong-Nam Jun.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