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취업률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University Employment Rate Evaluation

김영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finding about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employment rate issues. It aims to explore problem and improvement. It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in 2013 DB linked health insurance employment statistics survey in 2014,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Guidelines who had to navigate problems and solutions. Analysis of employment rate results,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valence band to the temporary employment of graduates admitted based on the enhanced behavior. Estimation of employment in ‘other items’ percentage points higher, we need to be prepared for it. The purpose of a common sense, Humanities and Art·physics employment rate is low by series employment estimating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Major scale with the university employment rat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criteria to further refine, clear and specific criteria. It must be established to identify well-thought-out statistics.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it will classify about workforce by region, disciplinespecific and employment prospects. How to link purely reflect the results of a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class. Calculation of indicators on employme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teach the basics necessary. Employment rate based on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a target made up on a wide variety of specific projects or issues should be utilized to match.

한국어

이 논문은 대학 취업률 평가에 관해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조사를 기초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1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DB연계 취업통계 조사결과, 2014년 대학정보공시 지침서(대학 및 대학원용)를 대상으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탐색했다. 취업률 평가에 관한 현황 분석 결과로 교육부는 자대 졸업생을 임시로 취업시키는 행위에 대해서 인 정 기준을 강화했다. 취업률 산정에서 ‘기타 항목’ 비율이 높다는 점에 대한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 다. 공통적으로 인문과 예체능계열의 취업률이 낮았으며 정부가 계열별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세부적인 취업률 산정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대학 규모와 더불어 전공(학과)별로 취업률 산정 기준을 더 세분화 하고 조사 기준이 더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면밀한 통계 파악이 가능하다. 유지취업률 에 대한 비중을 높이는 것도 고려할 부분이며 통계 조사에서 취업자의 범위와 근거를 분명하게 정의하 고 교수, 교직원, 재학생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개선 방안으로는 정부가 지역별·학문별·계열별 인력 전망과 취업률을 연계하는 방법과 순수하게 대 학 교육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대졸 청년층의 구직과정과 취업의 질적 수준을 참조해 취업률 지표를 재구성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대학구성원에게 취업률 지표 산정에 관 한 기본적인 사항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일률적인 평가 결과가 아닌 취업률 조사 범위·대상·기준을 다 양하게 만들어놓고 특정한 사업이나 사안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취업률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Ⅲ. 취업률 지표에 관한 현황
 Ⅳ. 문제점과 개선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재 Young-Jae Kim. 강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