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기 자비의 부족이 여자 청소년의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제 : 신체 불만족, 섭식절제 및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Influences and Mechanisms of Poor Self-Compassion on Binge Eating Behaviors in Adolescent Girls : The Mediating Effects of Body Dissatisfaction, Dietary Restraint, and Negative Affect

이신혜,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uniqu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binge eating behavior, and to shed light on its mechanism involv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proposed both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in which body dissatisfaction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Based on these models and Stice’(2001) dual pathway model, the current study proposed an integ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poor self-compassion would predict binge eating behaviors through body dissatisfaction, which then would be mediated by dietary restraint and negative affe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oodness-of-fit of three mediation models and simple effects model in a sample of 667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indicate that poor self-compass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binge eating behavior, when controlling for body mass index, body dissatisfaction, dietary restraint, and negative affect. SEM revealed that both partial and full mediational models fit the data well, and the former was superior to the latter. In contrast, simple effects model was not supported. Further, both the integrated mediation model and Stice’(2001) dual pathway model were not support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predicting binge eating behavior. In addition, they suggest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self-compassion and body dissatisfaction in preventing or treating this behavior. Finally,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폭식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자기 자비가 유의하게 기여하는지 밝히고, 자기 자비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폭식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폭식행동에 대한 자기 자비의 작용 기제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폭식행동에 고유한 자기 자비의 효과를 알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후, 신체 불만족이 자기 자비와 폭식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두 가지 매개모형,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이 두 가지 매개모형들을 대안모형인 단순효과모형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였다. 677명의 여자 고등학생들에게 자기 자비, 신체 불만족, 섭식절제, 부적 정서, 신경성 폭식증의 수준을 각각 측정하는 자기 보고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 자비는 신체질량지수와 심리적 변인들(신체 불만족, 부적 정서, 섭식절제)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폭식행동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다음으로, 자기 자비는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신체 불만족의 완전 매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부분매개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가장 잘 부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Stice(2001)의 이중-경로 모형에 기초한, 섭식절제와 부적 정서의 매개로 신체 불만족이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과, 신체 불만족, 섭식절제 및 부적 정서의 매개로 자기 자비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둘 다 지지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여고생들의 폭식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자기 자비가 고유하게 기여하며, 그 과정에서 신체 불만족이 매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방법
 결과
  참가자들의 일반적 특성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신혜 Shin-Hye Lee.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응용심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