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Schem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 & Complex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Adolescents

이현정, 장희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tried to clarify what influence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adolescence have o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what this study has tried to verify are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it has clarified what differences adolescents show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Second, in order to clarify the path of the causation of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some psychologically internal course, this study has verified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between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life event questions, a complex trauma scale, interpersonal relation scale, and an early maladaptive schema scale on adolescents from 7 high schools and 4 youth consulting centers in three cities, and then a total of 776 adolescents’data were used for the study. First of al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to the trauma-less group, the simple traumatic group, the interpersonal traumatic group, the complex traumatic group, and multiple traumatic group. The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among the group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That is to say, it turned out that groups with multiple or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more and greater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than groups with simple or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Next, in order to verify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traumatic experience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ly in groups with complex or multiple traumatic experiences, this study established some theoretical models of path structure influencing them directly or indirectly, and verified them against the data.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it turned out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two variables,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외상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복합외상을 경험한 경우 어떠한 심리내적 과정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가 유발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복합외상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3개 도시의 고등학교 7곳, 청소년 상담센터 4곳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생활사건 질문지, 복합외상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초기부적응도식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총 77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외상경험에 따라 외상이 없는 집단, 단순외상 집단, 대인간외상 집단, 복합외상 집단, 다중외상 집단으로 구분한 후 외상유형에 따른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중외상 및 복합외상 집단으로 분류된 청소년이 외상이 없음, 단순외상, 대인간외상 집단보다 거절이나 단절과 관련된 초기부적응도식이 더 많이 나타나고 대인관계문제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외상 경험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다음으로, 복합외상 및 다중외상 집단만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두 변인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아동ㆍ청소년기 외상, 초기부적응도식과 대인 관계문제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외상의 유형에 따른 초기부적응도식의 차이
  외상의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복합 및 다중 외상경험, 초기부적응도식,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
  복합 및 다중 외상경험과 대인관계 문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현정 Hyun-Jung Lee.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 장희순 Hee-Sun Jang. 동작아이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