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포럼(Jeju Forum)과 한국의 소프트파워 전략

원문정보

진행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소프트파워를 기반으로 추진하는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의 한 유형인 포럼외교(forum diplomacy)가 최근 들어 활성화되고 있다. 세계의 여러 나라가 다보스포럼처럼 널리 알려 진 국제포럼을 공공외교의 장으로 활용하는 한편, 자국이 직접 이러한 국제적인 포럼을 만 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우리도 공공외교 차원에서 한국을 대표하 는 국제포럼의 육성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음을 함축한다. 현재 국내의 국제포럼들 가운데, 다보스포럼이나 보아오포럼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종합포럼 성격의 포럼으로는 ‘제주포럼’을 들 수 있다. 정부는 포럼외교를 주도하기 위한 정책의지를 갖고 제주포럼을 세계적인 포럼 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이에 제주포럼에 대한 트랙1.5 형식의 강화, 대통령의 참석 관례화 등 다양한 전략적 포석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 이러한 국제포럼의 육성은 중견국으로서의 한국의 소프트파워 증진 차원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 개원8주년 기념세미나(2014.3.28.) 발표자료

목차

요약
 1. 소프트파워와 포럼외교 개념의 검토
  가. 지식과 네트워크의 소프트파워
  나. 공공외교로서의 포럼외교
  다. 포럼의 컨셉: 다중이해관계자 이론
 2. 국내외 대표적 국제포럼의 현황
  가. 다보스포럼
  나. 보아오포럼
  다. 국내의 국제포럼
 3. 제주포럼의 현황 및 과제
  가. 제주포럼의 현황
  나. 제주포럼의 과제
 4. 제주포럼과 한국의 소프트파워 전략
  가. 다보스⋅보아오 포럼의 소프트파워적 함의
  나. 국가적 차원의 제주포럼 육성
  다. 대통령의 제주포럼 참석 관례화
  라. 포럼외교의 활성화
  마. 트랙1.5 형식의 가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진행남 제주평화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