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홍길동전> 속 ‘가정 내 서얼차대’의 실상과 그 해소의 의미 - 서얼 소통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주목하여 -

원문정보

A study on development and resolution of discrimination at home shown in <Hong-gildong Jeon>

이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motive in is discrimination against the main character Hong Gildong who is born as a Seo-eol(서얼). Seo-eols are born to their family from outside the legal marriage or from a wife other than the first one. It deals with discrimination both at the societal and national level and at the home level as well. In my paper, I focus on this discrimination issue at home; he was prohibited from (1) calling his father and brothers as such and (2) treated contemptuously. I examine how these two aspects of the discrimination at home are developed and then resolved in the story and describe what this implies given the social structure of that time period in history. At the beginning of the story, the hero Hong Gildong laments himself of being not allowed to call his father as ‘father’ and his brothers as ‘brothers’ and being mistreated by other family members. This prohibition and contemptuous treatment is the main theme of this work. Hong Gildong appeals to his father and the king for the injustice of the prohibition. He later gets permission from his father to call him ‘father’ in certain places and situations. I emphasize that this first problem is resolved in a personal meeting between his father and himself. Hong Gildong also claims to his parents and thieves, and his two wives that contemptuous treatment is unfair and unjust. Per his persistent claim, his father, facing his own death, orders that his family members should not treat Gildong contemptuously and should treat his mother courteously. The resolution of this second problem takes place in a public space. Next, I investigate how the social custom of the discriminative treatment against Seo-eol at home has become obsolet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 have found the following. Since 1700s, conscientious intellectuals has started to raise in public the issue of injustice embedded in the tradition of the prohibition and the contemptuous treatment of Seo-eols at home. Not only the kings and their bureaucracy, but also the intellectuals considered the discrimination against Seo- eols as a domestic issue. Therefore, it had to be the farther’s authority to decide how to teat his son at home. Based on these findings, I claim that the author’s intention was to extend the issue of discrimination to not only that against Seo-eol but to that against other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servants and close relatives living in the same village. Because of this, Hong Gildong’s father resolved the domestic discrimination in two phases, prohibition first and then mistreatment later. Although he compiled his petition to the king and his government, it was not the king but his father who settled the conflict. This line of story development reflects the notion shared among those with power and Seo-eols as well that discrimination against them should be settled within a family, thereby treating resolution of this social problem as being separate from the realm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한국어

<홍길동전>은 서얼에 대한 차별대우 가운데 ‘호부호형 금지’ 및 ‘가중 천대’와 같은 가정 내 차대와, 급 제 후 관직 제수의 제한과 같은 사회 및 국가 내 차대를 부각시키고 있다. 필자는 본고에서 가정 차원 의 차대인 ‘호부호형 금지와 가중 천대’에 한정하여, 작품 속에서 그것이 어떻게 그려지고 또 해소되는 지, 그리고 그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근본이 천생이라 10세가 넘도록 호부호형할 수 없고 집안 비복들이 자신을 천대함을 한탄하는’ 길동의 발언을 통해, 서얼에 대한 가정 내 차대로서 ‘호부호형 금지’와 ‘가중 천대’ 문제가 작품의 의미 지향점이 된다고 보았다. ‘호부호형’의 경우, 길동은 부친뿐만 아니라 나라의 군신에게 이것을 하소연 하였는데, 막상 왕이 아니라 부친이 집안에서 이를 허락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중 천대’의 경우, 길동 이 부모 외에도 적굴의 도적들과 두 부인에게 이것을 말한다. 이는 가족, 집안의 노비 뿐만 아니라 향 당의 친척까지도 길동을 천대함에 비추어 볼 때, 이 문제가 결국 ‘가정을 포함한 전 사회 구성원들 사이 에 해결되어야 일’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홍길동전>에서 ‘가중 천대’는 부친이 죽기 전 가족들에게 ‘길동에게 적서 분별하지 말고, 그의 모친을 후대하라’는 명령을 내림으로써 해소된다. 이처럼 ‘호부호 형 금지’는 가장권을 지닌 부친 홍판서가 제1차로 한정된 자리에서 길동에게 해소해주었고, ‘가중 천대 ’는 제2차로 공개된 자리에서 가족들에게 그 해소를 명령하는 단계를 거친다. 다음으로, 서얼차대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들이 주로 과거의 허용과 같은 허통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관 직 제수의 제한을 없애려는 통청의 문제로 옮겨졌다가, 1700년대 무렵부터 비로소 선각적 지식인들에 의해 ‘호부호형 금지’와 ‘가중 천대’ 등의 부당성이 제기되면서 서얼들과 조정 대신들 사이에 ‘가정 내 차대’ 문제가 공론화되고 있었다. 중요한 것은 1700년대 이후 지식인뿐만 아니라 왕과 대신을 포함한 집권층 대부분이 적서의 분별은 한 집안의 일이고 관직 제수의 제한(분별)은 조정의 일이라는 점을 분 명히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호부호형 금지’는 한 집안에서 행해지는 것이어서 오직 부형이 이 문제를 해결해주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이를 통해 <홍길동전>에서 그려지고 있는, 서얼에 대한 가정 차대의 해소 과정과 그것이 지닌 의미가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었다. 먼저 그 차대가 호부호형 금지뿐만 아니라 가족과 가정 내 노비 나아가 향 당의 친인척들의 천대도 중요함을 부각하기 위함이니, 바로 이 때문에 부친 홍판서가 두 번에 걸쳐 이 것의 해소를 명령하는 과정을 밟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길동이 부친 외에도 경상감사 인형과 국왕 에게 호부호형의 문제를 하소연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왕이 아닌 부친이 가정 내에서 해결해준 것은, 1700년대 이후 서얼차대 문제의 해결 주체를 조정과 가정으로 나누어 보려는 당대 지배층과 서얼들의 인식이 반영된 탓이라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서론
 Ⅱ.작품에 나타난 가정 내 서얼차대와 그 해소
 Ⅲ.가정 내 서얼차대의 해결 방식에 대한 당대인의 인식과 작품과의 연관성
 Ⅳ.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영 Lee, Ji-young. 한국외국어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